AI 박사 "대기업 가면 고연봉 받는데, 왜 굳이 교수하나"

대학도 교수 부족에 '골머리'

경희·서강·한양·성균관대 등
경쟁적으로 교원 모집하지만
AI 박사, 대학 대신 '기업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 교수요원 부족은 초중고만의 문제가 아니다. 기업이 당장 쓸 수 있는 AI 인재를 배출해야 할 대학들도 진퇴양난에 빠져 있기는 마찬가지다. 쓸 만한 인재는 모두 기업행을 선택하고 있다는 게 문제다.

27일 교육계에 따르면, 경희대는 빅데이터응용학과의 AI 관련 전임교원(정년트랙)을 다음달 4일까지 추가 채용한다. 정년트랙이 명시된 전임교원은 통상 연 단위 계약을 하는 학술연구교수와 달리 정년이 보장된다. 채용이 워낙 드물다 보니 ‘바늘구멍’으로 자주 묘사되는 자리다. ‘머신러닝 및 딥러닝의 이론과 응용’ 분야를 초빙하고 있는데 상반기 1명을 뽑았음에도 하반기 채용 공고에 같은 내용이 다시 포함됐다.이런 ‘인재 기근’ 현상은 한양대, 성균관대 등 서울 주요 대학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각 대학이 AI 전문학과와 대학원을 꾸리는 것을 포함, 기존 공과대학 전임교원 채용 항목에 ‘AI 전공자 우대’를 명시하며 채용 문을 넓히고 나선 것이다. 심지어 행정학과나 영문학과에서도 실용성 개편을 명목으로 AI 분야 교수를 초빙하는 추세다. 하지만 적합한 사람을 찾지 못해 비슷한 구인 내용이 다시 올라오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연구자들 사이에 “외국계 기업이나 대기업에 가면 연봉과 연구환경이 훨씬 좋은데 사서 고생할 이유가 없다”는 기류가 견고하게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지방대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난해 AI융합학과를 신설한 강원대는 올해 수시 모집인원 29명에 489명이 지원할 정도로 인기 학과가 됐다. 하지만 이 대학의 AI융합학과 소속 교수는 3명이다. 나머지 5명은 모두 컴퓨터공학과 소속이다. 조선대 AI학과는 학과장을 제외한 교수 8명이 모두 겸임교수 직위다. 부산대·경북대와 같이 AI전공을 공동학과로 두고 교원과 교육시설을 합치는 사례가 생겨나기도 한다.

한 지방대 교수는 “대학에선 재정 문제를 이유로 3명이 필요한데 한 명만 뽑아주고, 지원자 입장에선 코로나19 상황이 완화돼 현장 강의를 해야 하는데 거주요건도 좋지 않아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조교수한테 1억원을 줄 수도 없는 노릇이고, 승진 연한을 줄이거나 행정 업무를 빼주는 등 연구환경 보장 노력이 없으면 상황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