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흐르는 아침] 세자르 프랑크의 '전주곡, 코랄과 푸가'
입력
수정
지면A2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작곡가의 ‘기념해’를 맞아 연주회장에서 가장 각광받는 피아노곡도 프랑크가 62세인 1884년에 작곡한 ‘전주곡(프렐류드), 코랄과 푸가’다. 베트남 출신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당타이손이 지난 8월 내한공연에서 이 곡을 들려줬고, 지난해 부조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재홍도 29일 독주회에서 핵심 레퍼토리로 연주한다.이 작품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바로크 양식인 전주곡과 코랄, 푸가로 쓰인 세 악장이 작곡가만의 독특한 기법으로 한 곡처럼 연결된다. 도입부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주제가 조금 변형되거나 거의 그대로 반복해 나타나는 ‘순환 형식’과 현란한 반음계적 멜로디, 풍성한 오르간 사운드 등 프랑크 음악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곡이다. 곡 전체를 지배하던 격정적이면서도 애수에 찬 단조 주제의 선율이 급작스럽게 장조로 바뀌며 환희를 분출하는 듯한 피날레가 벅찬 감흥을 일으킨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