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은 농약천지라고?…1급수 생물들에겐 천국!
입력
수정
지면A19
현장에서골프장에 가면 풀밭에서 뛰어노는 고라니를 쉽게 볼 수 있다. 1급수에 사는 송사리, 민물 가재와 수달을 비롯해 딱따구리, 뻐꾸기 등이 사는 골프장도 적지 않다. 골프가 한국에서 빠르게 확산한 이유 중 하나가 삭막한 도시에 사는 현대인이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쉬운 방법이어서다.
국감서 "금지된 살균제 사용" 주장
국내선 맹독성 제품 유통 안돼
"송사리·수달 살 수 있을만큼 무해"
조수영 문화부 기자
그런데도 골프장에는 ‘환경 파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해외에서 금지된 농약을 사용하는 등 골프장의 환경 파괴가 심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0년 전국 541개 골프장에서 사용된 농약은 전년보다 8.6% 늘어난 202.1t”이라며 “DDT(살충제)와 같은 유기염소제 계열에 속하는 맹독성 살균제인 클로로타로닐을 가장 많이 썼다”고 밝혔다.이를 두고 골프업계는 “사실과 다르다”며 억울함을 호소한다. 가장 큰 오류로 골프장에서 살균제로 많이 쓰는 클로로타로닐을 맹독성 농약으로 분류한 점을 지적한다. 한국잔디연구소에 따르면 농약은 급성 독성 정도에 따라 맹독성, 고독성, 보통 독성, 저독성 4단계로 나뉜다. 클로로타로닐은 이 중 가장 낮은 단계인 저독성에 속하는 살균제다.
해외에서 금지된 농약이라는 점도 사실과 맞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한국잔디연구소 관계자는 “1990년대 발암성에 관한 우려가 제기됐지만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재검토를 거쳐 1999년 4월 사람이나 동물, 환경에 위협을 줄 근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고 설명했다. 유럽연합(EU) 내 일부 국가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국내에서 2000년대부터 잔디용으로 등록됐고, 미국과 일본 등에서 특별한 제재 없이 사용하고 있다.
DDT와 같은 유기염소제 계열이라 위험하다는 주장에도 오류가 있다고 지적한다. DDT가 금지된 가장 큰 이유는 최고 15년에 이르는 긴 반감기 때문이다. 하지만 클로로타로닐 토양의 반감기는 최대 3.5일을 넘지 않는다. 클로로타로닐 분해대사물의 반감기가 10~22일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반감기는 30일 이하 수준이다.

국정감사 기간에는 온갖 자극적인 자료가 쏟아져 나온다. 의원들로서는 국정감사가 자신의 이름을 알릴 기회여서다. 그래도 사실을 왜곡해 업계의 기반을 흔드는 것은 곤란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