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신기술 없이는 탄소중립 절반밖에 달성 못해"(종합)
입력
수정
상의 탄소중립과 에너지정책 세미나서 강조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11일 "과학 기술 없이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날 대한상의 주최로 상의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4회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 개회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탄소 중립 경로와 로드맵을 제시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 연간 탄소 배출량의 46%를 신기술로 감축해야 한다고 했다"면서 "이를 다른 말로 해석하면 지금 우리 목표의 절반은 아직 기술이 없다는 얘기이며, 미래 기술을 개발해야 감축 목표의 절반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미국에서 발효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유럽연합(EU)의 탄소 방출법 에너지 전환 촉진 정책을 봐도 주요국은 적극적으로 과학기술을 활용해 기후 대응 프레임을 만드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학기술과 혁신적 아이디어가 더 많이 창출되도록 정책과 제도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 실현이 기술 상용화에 달린 만큼 원천 기술과 상용 기술의 연계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기조 강연에 나선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은 "탄소중립 기술을 개발하는 것과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야 한다"며 "원천기술과 상용기술의 연계 방안과 신기술 도입을 위한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이어 "과학 기술에 기반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기술의 혁신, 적용과 확산, 연계와 조율이라는 3가지 요건을 모두 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영목 산업통상자원부 MD는 세션별 발표에서 "에너지 다소비 중심 제조업,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 구조, 낮은 재생에너지 비중 등 국내 탄소중립 여건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며 기술 개발 지원의 조속한 추진 필요성 등을 제기했다.
토론에 나선 박노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센터장은 "2030년까지는 기존 기술의 고도화와 현장 적용에 집중하고, 이후에는 기존 기술의 점진적 퇴출과 미래 유망기술의 상용화 및 보급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술 연구개발(R&D) 단계에서 정부의 빠른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산업계 현장의 목소리도 있었다.
이어진 세션에서 발표를 맡은 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박사는 수소 경제를 위한 4대 추진 전략으로 ▲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시스템 구축 ▲ 수소 유통·배관·충전소 등 빈틈없는 공급 인프라 구축 ▲ 모든 일상에서의 수소 활용 확대 ▲ 기술개발·인력양성·표준 개발을 비롯한 생태계 기반 강화를 제시했다.
대한상의는 그동안 논의한 분야별 과제를 정리해 12월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그는 "글로벌 탄소 중립 경로와 로드맵을 제시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 연간 탄소 배출량의 46%를 신기술로 감축해야 한다고 했다"면서 "이를 다른 말로 해석하면 지금 우리 목표의 절반은 아직 기술이 없다는 얘기이며, 미래 기술을 개발해야 감축 목표의 절반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미국에서 발효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나 유럽연합(EU)의 탄소 방출법 에너지 전환 촉진 정책을 봐도 주요국은 적극적으로 과학기술을 활용해 기후 대응 프레임을 만드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학기술과 혁신적 아이디어가 더 많이 창출되도록 정책과 제도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 실현이 기술 상용화에 달린 만큼 원천 기술과 상용 기술의 연계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기조 강연에 나선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은 "탄소중립 기술을 개발하는 것과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야 한다"며 "원천기술과 상용기술의 연계 방안과 신기술 도입을 위한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이어 "과학 기술에 기반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기술의 혁신, 적용과 확산, 연계와 조율이라는 3가지 요건을 모두 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영목 산업통상자원부 MD는 세션별 발표에서 "에너지 다소비 중심 제조업,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 구조, 낮은 재생에너지 비중 등 국내 탄소중립 여건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라며 기술 개발 지원의 조속한 추진 필요성 등을 제기했다.
토론에 나선 박노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센터장은 "2030년까지는 기존 기술의 고도화와 현장 적용에 집중하고, 이후에는 기존 기술의 점진적 퇴출과 미래 유망기술의 상용화 및 보급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술 연구개발(R&D) 단계에서 정부의 빠른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산업계 현장의 목소리도 있었다.
이어진 세션에서 발표를 맡은 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박사는 수소 경제를 위한 4대 추진 전략으로 ▲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시스템 구축 ▲ 수소 유통·배관·충전소 등 빈틈없는 공급 인프라 구축 ▲ 모든 일상에서의 수소 활용 확대 ▲ 기술개발·인력양성·표준 개발을 비롯한 생태계 기반 강화를 제시했다.
대한상의는 그동안 논의한 분야별 과제를 정리해 12월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