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밥보다 능력"…추경호·이창양의 행시 '기수파괴' 실험

관가 승진인사 최우선 기준이던 '행시 기수' 뒤집은 인사 이어져
선배보다 먼저 과장-국장 승진하고
최고참 아닌데도 총괄 과장 맡아
사진=연합뉴스
정부 부처에서 '기수 파괴' 실험이 이어지고 있다. 관가에서 행정고시 기수는 인사를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중 하나로 꼽힌다는 점에서 '파격'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인사 적체가 심한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기수 문화를 뒤집은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

11일 정부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난 7일 행정고시 49회 출신 3명을 본부 보직과장에 임명했다. 기재부 과장 대다수가 행시 43~47회 출신이고, 48회 중에서도 아직 과장직을 맡지 못한 이들이 다수인 것을 감안하면 예상 밖 인사라는 게 중론이다. 특히 정규삼 신임 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장은 전임 과장(45회)과 비교하면 네 기수 차이다. 정책기획과장은 경제정책국 내 핵심 보직 중 하나라 초임 과장에게 맡긴 적이 거의 없다는 게 기재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49회 출신의 허수진 탄소중립전략팀장과 이희곤 외환분석팀장은 각각 청년정책과장, 인구경제과장으로 발령났다.

기재부의 기수 파괴 인사는 추경호 부총리가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추 부총리는 취임 직후 "기수대로 승진시키다가 일을 잘 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기지 못한다"며 "기수보다 능력을 우선적으로 감안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앞서 기재부 국장급 인사에서는 39회 출신이 선임 국장격인 경제정책국장(윤인대)에 내정되기도 했다. 전임 경제정책국장인 김병환 현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37회)에서 38회를 건너뛴 인사였다. 경제정책국장은 기재부 내 각 국에서 만든 정책을 종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참 국장이 맡는 게 관례였다. 조용범 대변인과 황순관 예산실 복지안전예산심의관도 39회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선배인 38회보다 39회가 더 잘나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선배들을 제친 행정고시 40회 국장(조만희 세제실 재산소비세정책관)도 최근 탄생했다. 산업부에서는 최근 행정고시 50회 과장(송용식 혁신행정담당관)이 발탁됐다. 48회와 49회 중에서 보직과장을 맡고 있는 산업부 직원은 여섯 명 중 한 명 꼴에 불과하다. 관련 기수에서 "왜 하필 지금 기수 역전이 이뤄지냐"는 불만이 나올 정도로 파격 인사라는 후문이다.

원전산업정책국 총괄과장(문상민 원전산업정책과장)은 행정고시 46회인데, 이 국에는 44회 출신 등 선배 과장도 있다. 보통 각 국의 최고 고참 과장이 총괄과장을 맡고 있는 관례를 뒤집은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작년까지만 해도 기수를 뛰어넘는 인사를 하는 게 불가능했다"며 "문제가 있다는 것을 모두가 알지만, 누군가 불만을 품을 수 있으니 어느 누구도 관례를 뒤집자고 먼저 말을 꺼내지 못했던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창양 장관이 취임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는 전언이다. 이 장관은 앞으로도 기수를 뛰어넘는 인사를 하겠다고 주변 인사들에게 밝혔다고 한다.

관가 일각에서는 기재부와 산업부가 워낙 인사적체가 심하다보니 기수 파괴 인사가 더욱 절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른 부처에서는 자연스럽게 젊은 공직자들이 국장 및 과장으로 등장하는데, 기재부와 산업부는 5~6년 정도 승진이 늦다보니 기수를 따지다보면 적임자를 찾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정부부처의 한 관계자는 "능력에 따른 인사는 민간영역에서는 당연한 일"이라며 "정부에서도 기수 파괴 인사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도병욱/이지훈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