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수출 통제 유예됐지만…미중 갈등에 속 터진다 [정지은의 산업노트]
입력
수정
미국 상무부와 1년 유예 협의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해 자국 기업의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1년 유예했다. 하지만 중국에서 반도체 사업을 사실상 축소 또는 철수하라는 미국의 압박은 이어지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中 철수 압박 분위기는 여전
생산기지 둔 삼성전자·SK하이닉스 고민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1년간은 중국 생산공장에 대해 수출 통제를 적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공식 통보했다. SK하이닉스 측은 “미국 당국과 1년간 별도 허가 없이 장비를 공급받는 방안에 대해 협의가 됐다”고 밝혔다.이번 유예 조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에 대해선 1년간 통제 방침을 적용하지 않게 됐다. 기존처럼 별도 허가 없이 미국 반도체 장비를 수입할 수 있다는 얘기다.
미 상무부는 지난 7일(현지시간) 중국의 반도체 기술 확보를 막기 위해 자국 기업이 중국 반도체 생산기업에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했다. 중국에 공장을 둔 다국적 기업에 대한 수출은 건별로 허가를 받도록 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상대로 반도체 수출 통제에 나서고 있다. 일각에선 수출 제한이 중국에서 반도체 사업을 철수하라는 미국 정부의 신호라는 해석까지 나온다. 격화하는 미·중 갈등이 한국 산업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전언이다.한국은 반도체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과의 관계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한국 반도체 산업에서 미·중 모두 중요한 나라로 꼽힌다. 미국은 반도체 제작 원천 기술을 다수 보유한 국가이고, 중국은 한국 반도체의 최대 시장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공장, 쑤저우에 패키징 공장을 두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우시에 D램 생산 공장, 다롄에 낸드 공장, 충칭에 패키징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시안 공장은 삼성전자 전체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40%를, 우시 공장은 SK하이닉스 전체 D램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반도체업계에선 한국의 전략적 반도체 외교 능력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든 중국이든 어느 한쪽에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감을 갖춰야 한다”며 “특정 국가의 경제 보복 가능성 등을 최소화할 장치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