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노란봉투법에 "재산권 없으면 노동권도 없어"

경총 방문…'김일성주의자 발언 여전히 그대로냐' 질문엔 "그렇다"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위원장은 노동조합의 불법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손해배상 청구권을 제한하는 이른바 '노란봉투법' 입법 추진에 대해 "노동권도 중요하지만 재산권도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13일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를 방문해 손경식 경총 회장을 면담하면서 "소유권을 침해하면 공산주의가 되는 것이다.

그렇게 가서는 안 되는 것 아니냐"면서 이같이 말했다.
손 회장은 여소야대 국면에서 어려움이 있음을 거론하면서 "지금 노조를 좀 누를 수 있는 게 손배소인데 그것까지 뺏어가면 아무 힘이 없다.

그 문제는 잘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해철 환노위원장을 만나 노란봉투법과 관련한 경영계 입장을 전달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후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앞선 '공산주의' 발언에 대해 "재산권을 없애면 노동권, 자유권, 신체적 인권이 다 없다"며 "그게 공산주의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이고, 그 길은 나치나 공산주의, 스탈린주의 등이 우리에게 보여준 교훈"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국정감사 파행을 불러온 발언에 대해서도 입장이 달라지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감에서 "문 전 대통령이 신영복 선생을 가장 존경하는 사상가라(고 한다)면 김일성주의자"라고 하는 등의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고, 결국 국감장에서 퇴장당했다.

김 위원장은 '김일성주의자' 발언에 대해 여전히 같은 생각인지 묻자 "그렇다.

어제 충분히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그는 손 회장과의 대화 내용에 대해 "회장님이 경사노위 역할을 기대한다면서 저와 노동자 대표들 간 화합의 자리를 만들겠다고 하셔서 좋다고 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불참 입장을 두고는 "참여할 수 있도록 여러 방면으로 계속 노력하겠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