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값 하는 대형 건설사, '금리 악재'에도 분양 시장 싹쓸이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입력
수정
10년 만에 기준금리 연 3% 시대에 진입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커졌지만 대형 건설사들의 브랜드 대단지는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다.
청약 시장에서도 평균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은 경쟁률을 나타내고 있는데다 집 값 하락 폭도 적게 나타나고 있다.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자금조달 비용에 중견 이하 건설사들이 몸을 사리는 새 탄탄한 신용도를 바탕으로 한 대형 건설사들이 규제가 풀린 지방 분양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는 분석이다.13일 업계에 따르면 올 4분기에만 대전·대구·부산·광주·울산 등 5대 광역시에서만 2만7075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대구 9111가구, 대전 7776가구, 부산 7560가구, 광주 1327가구, 울산 1301가구 등이다.
주로 브랜드를 앞세운 대형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올 4분기 분양 시장에 나서고 있다. 한화건설이 대전 유성구에서 선보이는 '포레나 대전학하'나 GS건설·포스코건설·SK에코플랜트가 부산 부산진구에서 컨소시엄을 이뤄 시공하는 양정 자이더샵SK뷰가 대표적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 이사는 "정부가 지난달 수도권과 세종을 비롯한 지방을 모두 규제 지역에서 해제하면서 움츠러들었던 분양 시장이 재개되는 모습"이라면서도 "아무래도 금리 인상 국면에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상황이라 실수요자들의 눈길을 더 끌 수 있는 브랜드 대단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한국은행은 지난 12일 역대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며 10년 만에 기준금리 3%대 시대를 열었다. 대출금리가 연 8%대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불어난 이자 부담 우려에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고 있다. 청약 경쟁률이 낮아지고 매매 시장도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다.
하지만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대단지에 대한 실수요는 여전하다는 게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하향 조정 국면에서 가파른 집 값 하락을 방어하기 상대적으로 용이한 데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됐을 때 가치 상승 폭도 더 클 것이란 기대에서다.
실제 아실에 따르면 경기 고양시에 있는 삼송2차아이파크(2015년 입주·전용면적 84㎡ 기준·15층)는 올 5월 중순 10억1000만원에 실거래됐다. 이에 비해 같은 연도에 입주한 는 인근 삼송스타클래스(전용면적 84㎡ 기준·8층)는 올 4월 말 8억12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지역이라도 건설사 브랜드에 따라 1억원 이상씩 가격 차이가 벌어지는 셈이다.금리 인상 국면에서 이같은 브랜드 대단지 선호 현상은 청약 경쟁률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1000가구 이상 브랜드 대단지는 총 24곳으로, 평균 18.72 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국에 분양된 아파트 전체 평균 경쟁률인 9.57 대 1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은 수치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는 내부 설계나 커뮤니티 시설이 뒷받침 돼 지역에서도 시세를 이끄는 경우가 많다"며 "지방의 경우 희소성도 있어 오히려 부동산 시장 둔화기에서 더 선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사들의 자금력도 이같은 양극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공사비와 인건비 등이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도가 높지 않아 자금조달 비용이 비싼 중견 이하 건설사들은 사업 추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들이 적극적으로 분양 시장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청약 시장에서도 평균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은 경쟁률을 나타내고 있는데다 집 값 하락 폭도 적게 나타나고 있다.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자금조달 비용에 중견 이하 건설사들이 몸을 사리는 새 탄탄한 신용도를 바탕으로 한 대형 건설사들이 규제가 풀린 지방 분양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는 분석이다.13일 업계에 따르면 올 4분기에만 대전·대구·부산·광주·울산 등 5대 광역시에서만 2만7075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대구 9111가구, 대전 7776가구, 부산 7560가구, 광주 1327가구, 울산 1301가구 등이다.
주로 브랜드를 앞세운 대형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올 4분기 분양 시장에 나서고 있다. 한화건설이 대전 유성구에서 선보이는 '포레나 대전학하'나 GS건설·포스코건설·SK에코플랜트가 부산 부산진구에서 컨소시엄을 이뤄 시공하는 양정 자이더샵SK뷰가 대표적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 이사는 "정부가 지난달 수도권과 세종을 비롯한 지방을 모두 규제 지역에서 해제하면서 움츠러들었던 분양 시장이 재개되는 모습"이라면서도 "아무래도 금리 인상 국면에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상황이라 실수요자들의 눈길을 더 끌 수 있는 브랜드 대단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한국은행은 지난 12일 역대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며 10년 만에 기준금리 3%대 시대를 열었다. 대출금리가 연 8%대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불어난 이자 부담 우려에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고 있다. 청약 경쟁률이 낮아지고 매매 시장도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다.
하지만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대단지에 대한 실수요는 여전하다는 게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하향 조정 국면에서 가파른 집 값 하락을 방어하기 상대적으로 용이한 데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됐을 때 가치 상승 폭도 더 클 것이란 기대에서다.
실제 아실에 따르면 경기 고양시에 있는 삼송2차아이파크(2015년 입주·전용면적 84㎡ 기준·15층)는 올 5월 중순 10억1000만원에 실거래됐다. 이에 비해 같은 연도에 입주한 는 인근 삼송스타클래스(전용면적 84㎡ 기준·8층)는 올 4월 말 8억12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지역이라도 건설사 브랜드에 따라 1억원 이상씩 가격 차이가 벌어지는 셈이다.금리 인상 국면에서 이같은 브랜드 대단지 선호 현상은 청약 경쟁률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1000가구 이상 브랜드 대단지는 총 24곳으로, 평균 18.72 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국에 분양된 아파트 전체 평균 경쟁률인 9.57 대 1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은 수치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는 내부 설계나 커뮤니티 시설이 뒷받침 돼 지역에서도 시세를 이끄는 경우가 많다"며 "지방의 경우 희소성도 있어 오히려 부동산 시장 둔화기에서 더 선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사들의 자금력도 이같은 양극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공사비와 인건비 등이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도가 높지 않아 자금조달 비용이 비싼 중견 이하 건설사들은 사업 추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들이 적극적으로 분양 시장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