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산업단지, 남부보다 생산성 떨어져…불균형 해소해야"
입력
수정
경기북부지역 일반산업단지가 규모뿐 아니라 생산성과 효율성이 남부지역에 비해 떨어져 불균형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산업단지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경기도 내 일반산업단지 수와 고용인원은 175곳에 26만4천142명이다.
이는 전국 시도 중 가장 큰 규모로 전국 전체 단지 수의 25.1%, 고용 인원의 25.8%를 차지한다.
이 중 96개 도내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경기북부 산업단지 중 상위그룹에 포함된 단지는 23%에 불과하고, 나머지 77%는 중·하위 그룹으로 분류됐다. 5년간 생산성 변화에서도 경기북부 산업단지는 32%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68%가 정체 또는 감소했다.
반면 남부 산업단지는 49%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51%가 정체 또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북부 지역에 신산업 유치가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고양·양주 테크노밸리와 더불어 추가적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노후 산단의 고도화·스마트화를 제안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산업단지는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경기북부는 정보통신기술(ICT)과 기존 제조업의 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요구되는 흐름에 따라 제조업 혁신과 지역 특성에 적합한 전략산업 육성 등 실행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기연구원은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산업단지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경기도 내 일반산업단지 수와 고용인원은 175곳에 26만4천142명이다.
이는 전국 시도 중 가장 큰 규모로 전국 전체 단지 수의 25.1%, 고용 인원의 25.8%를 차지한다.
이 중 96개 도내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경기북부 산업단지 중 상위그룹에 포함된 단지는 23%에 불과하고, 나머지 77%는 중·하위 그룹으로 분류됐다. 5년간 생산성 변화에서도 경기북부 산업단지는 32%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68%가 정체 또는 감소했다.
반면 남부 산업단지는 49%가 효율성이 증가했고 51%가 정체 또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북부 지역에 신산업 유치가 필요하며 현재 진행 중인 고양·양주 테크노밸리와 더불어 추가적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노후 산단의 고도화·스마트화를 제안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산업단지는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경기북부는 정보통신기술(ICT)과 기존 제조업의 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요구되는 흐름에 따라 제조업 혁신과 지역 특성에 적합한 전략산업 육성 등 실행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