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롤러코스터 탄 뉴욕증시…최악 인플레에도 다우 2.8%↑(종합)
입력
수정
다우지수 하루 등락폭 1,500P…S&P 500·나스닥도 역대급 변동폭
9월 CPI 급등에도 일각 '바닥론'…'매파' 연준에 반등세 이어질지 미지수 미국 뉴욕증시가 13일(현지시간) 시장 예상보다 더 나쁘게 발표된 미국의 물가지표에도 불구하고 급반등했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27.87포인트(2.83%) 급등한 30,038.72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20년 11월9일 이후 하루 최대폭 상승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2.88포인트(2.60%) 상승한 3,669.9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2.05포인트(2.23%) 오른 10,649.1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변동폭은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2%, 근원 CPI가 6.6% 각각 급등했다는 미 노동부 발표 후 장 초반 550포인트 급락 출발한 다우 지수는 장중 최고 950포인트 이상 급등, 하루 동안 위아래로 총 1,500포인트 출렁거렸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다우 지수가 장중 최소 50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가 800포인트 이상 상승 마감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장중 1.9% 이상 급락하다 결국 플러스 상승률을 찍은 것은 2011년 8월 이후 최초다.
S&P 500 지수도 2020년 3월 이후 하루 최대폭 변동성을 보이는 등 하루종일 롤러코스터를 탔다.
S&P 500 지수의 장중 저점 대비 반등폭은 역대 5번째, 나스닥 지수의 반등폭은 역대 4번째라고 CNBC방송이 보도했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커다란 반등장이 펼쳐진 것이다.
그동안 증시를 짓누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행보에 더욱 힘을 싣는 통계조차 이미 증시가 바닥에 근접했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의 반발 매수세를 막지는 못했다. 연준이 더 정확한 물가지표로 판단하는 근원 CPI가 40년 만에 최대폭 상승했다는 소식에 11월에도 최소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장중 4%를 재돌파했다가 종가 기준으로 전날보다 0.05%포인트가량 오른 3.952%에 장을 마쳤다.
그러나 상당수 투자자는 증시가 이미 과매도 상태라고 보고 장 초반 급락 후 대거 매수 포지션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 7월 S&P 500 지수의 6거래일 연속 하락 후 대대적인 '서머랠리' 반등장이 펼쳐졌다는 데 주목했다.
이번에도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하락한 S&P 500 지수가 과하게 떨어졌다고 판단한 일부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의 기회로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이미 정점에 가까워졌다는 데 베팅한 투자자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미 증권사 에드워드존스의 선임투자전략가 모나 마하잔은 주거비용 상승이 9월 CPI 상승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월세 상승률이 진정 추세라고 지적했다.
향후 물가상승률이 둔화할 가능성을 제기한 셈이다.
그러나 이날 반등세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시티 인덱스&포렉스의 애널리스트 파와드 라자크자다는 "미국보다 금리를 덜 올린 국가의 통화들보다 달러화에 계속 힘이 실릴 것이고 주식과 금 가격은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전까지 계속 고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11월 1.0%포인트의 금리인상 가능성이나 12월까지 5연속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까지 제기한다.
/연합뉴스
9월 CPI 급등에도 일각 '바닥론'…'매파' 연준에 반등세 이어질지 미지수 미국 뉴욕증시가 13일(현지시간) 시장 예상보다 더 나쁘게 발표된 미국의 물가지표에도 불구하고 급반등했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27.87포인트(2.83%) 급등한 30,038.72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20년 11월9일 이후 하루 최대폭 상승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2.88포인트(2.60%) 상승한 3,669.9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2.05포인트(2.23%) 오른 10,649.1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변동폭은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2%, 근원 CPI가 6.6% 각각 급등했다는 미 노동부 발표 후 장 초반 550포인트 급락 출발한 다우 지수는 장중 최고 950포인트 이상 급등, 하루 동안 위아래로 총 1,500포인트 출렁거렸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다우 지수가 장중 최소 50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가 800포인트 이상 상승 마감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장중 1.9% 이상 급락하다 결국 플러스 상승률을 찍은 것은 2011년 8월 이후 최초다.
S&P 500 지수도 2020년 3월 이후 하루 최대폭 변동성을 보이는 등 하루종일 롤러코스터를 탔다.
S&P 500 지수의 장중 저점 대비 반등폭은 역대 5번째, 나스닥 지수의 반등폭은 역대 4번째라고 CNBC방송이 보도했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커다란 반등장이 펼쳐진 것이다.
그동안 증시를 짓누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행보에 더욱 힘을 싣는 통계조차 이미 증시가 바닥에 근접했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의 반발 매수세를 막지는 못했다. 연준이 더 정확한 물가지표로 판단하는 근원 CPI가 40년 만에 최대폭 상승했다는 소식에 11월에도 최소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장중 4%를 재돌파했다가 종가 기준으로 전날보다 0.05%포인트가량 오른 3.952%에 장을 마쳤다.
그러나 상당수 투자자는 증시가 이미 과매도 상태라고 보고 장 초반 급락 후 대거 매수 포지션으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 7월 S&P 500 지수의 6거래일 연속 하락 후 대대적인 '서머랠리' 반등장이 펼쳐졌다는 데 주목했다.
이번에도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하락한 S&P 500 지수가 과하게 떨어졌다고 판단한 일부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의 기회로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이미 정점에 가까워졌다는 데 베팅한 투자자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미 증권사 에드워드존스의 선임투자전략가 모나 마하잔은 주거비용 상승이 9월 CPI 상승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월세 상승률이 진정 추세라고 지적했다.
향후 물가상승률이 둔화할 가능성을 제기한 셈이다.
그러나 이날 반등세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시티 인덱스&포렉스의 애널리스트 파와드 라자크자다는 "미국보다 금리를 덜 올린 국가의 통화들보다 달러화에 계속 힘이 실릴 것이고 주식과 금 가격은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전까지 계속 고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11월 1.0%포인트의 금리인상 가능성이나 12월까지 5연속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까지 제기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