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를 때, 집 갈아타는 역발상 필요…호재 많은 용산 주목해야"
입력
수정
지면A5
집코노미 콘서트…"집값 추가 하락 기다리면 늦다"“가파른 금리 인상기가 오히려 갈아타기 적기가 될 수 있다.”
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거래 절벽 속 최근 강남 거래↑"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장
미래 유망 투자지역 '용산' 꼽아
부동산 전문가들은 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집코노미 박람회 2022’의 부대 행사인 ‘집코노미 콘서트’에서 ‘남다른 투자 시각’을 주문했다. 미국 중앙은행(Fed)발 금리 인상이 국내에서도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금리가 안정화되면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진단이다.강연에 나선 스타 강사들은 실수요자가 추가적인 집값 하락을 기다리기보단 자금 여력에 맞는 대체 지역을 발굴해 내 집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콘서트는 유튜브 채널 ‘집코노미TV’에서 동시 접속자가 1000명을 넘어서고, 트래픽이 폭증하는 등 큰 관심을 받았다.
“강남 도심 급매·호재 많은 용산 주목”
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는 “유동성이 풍부하던 초저금리 시대와는 시장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며 “금리 인상, 부동산 조정 국면에서 투자 전략을 새롭게 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리가 다시 내려 대출 이자 부담이 줄어들기만 기다리다간 상급지 이동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거래절벽 속에서도 최근 들어 서울 강남권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선 “현금 여력이 있는 투자자들이 좋은 입지의 ‘급매’를 사들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 대표는 이자 부담 범위를 가늠한 뒤 발품을 파는 전략을 제안했다. 그는 “발품과 전략이 있다면 경쟁률이 낮아진 틈을 타 전에 없던 상급지 이동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재개발 예정지를 주목했다. 김 소장은 “신속통합기획·모아주택 등을 통한 정비사업 가능성이 높은 빌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재개발 시장의 프리미엄은 빠지고 있지만 오히려 예정지의 프리미엄은 올라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재개발 예정지 투자는 중장기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소액으로 시세 차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그는 “광진구·용산구(모아타운 기준)처럼 재개발 경합이 적은 지역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장은 용산을 올 하반기 이후 유망 투자 지역으로 꼽았다. 심 소장은 “용산의 경우 서울 부동산 시장 조정 국면에서도 강남·서초를 웃도는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며 “국제업무지구를 포함해 용산의 70% 면적이 개발 중이라는 점만 봐도 개발 호재가 충분하다는 걸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용산을 기폭제로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앞으로 1~2년간 부동산시장 조정기가 끝나면 용산이 서울 부동산 시세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꽉 막힌 거래 풀어 줄 정책 검토 중”
이날 콘서트에선 ‘기로에 선 부동산 시장, 상황과 전망’을 주제로 정책 세미나도 열렸다.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을 총괄하는 김효정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국장)과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열띤 토론을 벌였다.전문가들은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이 효과를 내기 위해선 ‘속도전’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허 위원은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심각한 부분은 예년에 비해 반 토막 난 거래량”이라며 “시장 정상화를 위해선 부동산 관련 제도, 금융 지원, 세제 개편 등 광범위한 부문에서 속도감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 교수는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그는 “정상적으로 팔고 사는 연쇄적인 행위가 이뤄져야 실수요자들의 막연한 공포를 잠재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울 도심의 주택 공급은 수요에 비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 일각의 부동산 거품 붕괴 주장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이 같은 민간 전문가들의 지적에 김 국장은 “실수요자들이 과거 저금리 상황을 잊지 못하고 경제 활동 결심을 지연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주택시장의 각종 지표를 봤을 때 절대적인 수치가 위험 수준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실수요자의 정상 거래를 위한 대안 마련도 시사했다. 김 국장은 “시장 경색이 심화하기 전에 정부가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해 거주지를 이동해야 하는 실수요자들의 불편을 완화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은정/심은지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