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선업 '이익공유제' 도입…원청 근로자들도 양보할 준비 됐나
입력
수정
지면A31
지난 6~7월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근로자들의 51일간 파업을 거치며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한 ‘조선업 이중구조’ 해소책이 나왔다. 정부가 어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관련 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조선업 격차 해소 및 구조개선 대책’은 원·하청 간 자율 해법에 방점을 찍고 있다. 조선사와 협력업체들이 ‘상생협력 실천협약’을 내년 초까지 체결하면 정부가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지원해 나가는 게 큰 줄기다.
과거 정부가 무모한 재정 투입이나 일방적 규제에 집중하는 바람에 이중구조가 오히려 심화하고 시간만 허비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적정 기성금 지급, 다단계 하도급 구조 개선 등도 하청 근로자가 62.3%로 전 업종 중 압도적 1위인 조선업의 기형적 행태를 감안할 때 시의적절하다. 심각한 인력난 해소를 위한 과감한 조치도 주목된다. 현행 최대 연 90일인 ‘특별연장근로’ 기간을 180일로 전향적으로 확대했다. 생산현장 근로자들도 이구동성으로 원해온 것으로, 진즉에 나왔어야 할 대책이다. 외국인 근로자 투입 확대를 위해 비자 제도를 개선하고 직무·숙련 중심 임금체계를 확산하기로 한 것도 평가할 만하다.하지만 기대만 키우기에는 곳곳에 무리수와 허점도 보인다. 이중구조를 타파하려면 최상위 원청업체 근로자들의 양보가 필수인데도 고민과 의지가 보이지 않는 게 가장 큰 걱정이다. 원청 근로자들은 한 해 근로일수가 180일로 하청 근로자(270일)보다 턱없이 짧지만 임금은 2배 가까이 된다. 정부는 이런 구조에 과감하게 메스를 대겠다는 말을 빠뜨린 채 이익공유제 추진 의사를 밝혔다. 아직 구체적 도입 방법이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어떤 경우에도 이익공유는 준조세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 기업의 정부 의존과 근로자의 떼쓰기를 부르는 반시장적 조치이기도 하다.
‘조선 3사’ 영업적자는 지난해 4조원에 달했고 올 상반기도 1조원을 넘어섰다. 중장기 생존 가능성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갈등적 노사문화가 팽배한 한국에서 이익공유제가 자칫 국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정부가 원청 조선사를 ‘팔 비틀기’ 방식으로 몰아세우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과거 정부가 무모한 재정 투입이나 일방적 규제에 집중하는 바람에 이중구조가 오히려 심화하고 시간만 허비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정책이다. 적정 기성금 지급, 다단계 하도급 구조 개선 등도 하청 근로자가 62.3%로 전 업종 중 압도적 1위인 조선업의 기형적 행태를 감안할 때 시의적절하다. 심각한 인력난 해소를 위한 과감한 조치도 주목된다. 현행 최대 연 90일인 ‘특별연장근로’ 기간을 180일로 전향적으로 확대했다. 생산현장 근로자들도 이구동성으로 원해온 것으로, 진즉에 나왔어야 할 대책이다. 외국인 근로자 투입 확대를 위해 비자 제도를 개선하고 직무·숙련 중심 임금체계를 확산하기로 한 것도 평가할 만하다.하지만 기대만 키우기에는 곳곳에 무리수와 허점도 보인다. 이중구조를 타파하려면 최상위 원청업체 근로자들의 양보가 필수인데도 고민과 의지가 보이지 않는 게 가장 큰 걱정이다. 원청 근로자들은 한 해 근로일수가 180일로 하청 근로자(270일)보다 턱없이 짧지만 임금은 2배 가까이 된다. 정부는 이런 구조에 과감하게 메스를 대겠다는 말을 빠뜨린 채 이익공유제 추진 의사를 밝혔다. 아직 구체적 도입 방법이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어떤 경우에도 이익공유는 준조세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 기업의 정부 의존과 근로자의 떼쓰기를 부르는 반시장적 조치이기도 하다.
‘조선 3사’ 영업적자는 지난해 4조원에 달했고 올 상반기도 1조원을 넘어섰다. 중장기 생존 가능성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갈등적 노사문화가 팽배한 한국에서 이익공유제가 자칫 국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정부가 원청 조선사를 ‘팔 비틀기’ 방식으로 몰아세우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