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난민 만난 정우성 "지속적 관심이 전쟁 빨리 끝낼 무기"
입력
수정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로 폴란드 방문…"연대의 힘으로 극복해야" "상황이 벌어졌을 때 잠깐 지원하기보다는 지속적으로 난민에 관심을 두는 게 전쟁을 빨리 끝낼 수 있는 하나의 무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 희망으로 사회에 공유하고 싶어요.
"
유엔난민기구(UNHCR) 친선대사로 활동하는 배우 정우성(49)은 19일 서울 중구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폴란드 미션'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정우성은 이달 초 1주일간 유엔난민기구 협력 기관이 운영하는 난민지원센터 '블루 닷'과 난민들의 주요 유입 기차역인 루블린 역 등을 방문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발생한 난민들을 만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약 3년 만의 현장 방문이다.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올해 2월 24일 전쟁이 발생한 이후 우크라이나를 떠난 난민은 600만 명 이상이다.
이들은 각국에서 난민의 지위를 부여받거나 임시 보호 제도의 적용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폴란드에 등록된 난민은 가장 많은 약 140만 명이다. 정우성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한국사회에 가장 민감하게 전달되는 것 같아 폴란드를 선택했다"며 "전 세계 난민이 1억 명이라는 수치를 바라볼 때 어떤 마음가짐으로 (난민 이슈에) 임해야 할까 많이 고민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난민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과 교감하기 위해 사연을 듣는데 주안점을 뒀다. 현지에서 만난 이들의 이야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고자 다이어리를 들고 다니며 이름과 대화 내용 등을 꼼꼼히 적었다고 했다.
미술을 공부하는 이나 베레즈카는 탱크가 도시 안에서 진격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우크라이나를 떠날 결심을 했다며 정우성에게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들려줬다.
건설회사 직원인 이반은 음식을 사러 차량으로 이동하다가 폭격을 받아 정신을 잃었지만, 다시 의식을 찾고 가족과 재회한 일화를 소개했다.
정우성은 "난민들은 전쟁의 장기화로 지쳐가고 있고, 생활을 이어가는 데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서도 "언젠가 전쟁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긴 싸움을 이겨낼 준비를 하는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난민 사태는 어떤 사건이 발생해 어려움에 봉착한 피해자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평화에 대한 이야기"라며 "난민을 바라볼 때 인류 안에서의 평화가 얼마나 가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우성은 "누구를 위한 전쟁이냐는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러시아가 병력 보충을 위해 부분 동원령을 내리고, 남성들이 징집을 피하고자 러시아를 탈출하고 있는 상황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정치적인 선택 이면엔 국가 간 이해관계로 노림수들이 다 다르다"며 "정치 지도자들의 잘못된 선택을 비판하기보다는 시민들의 연대의 힘으로 극복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는 의견도 냈다.
2014년 유엔난민기구 명예사절을 시작으로 이듬해부터 친선대사로 활동 중인 정우성은 그간 레바논과 남수단, 로힝야 등 주요 난민 발생 국가를 찾았다.
이번 폴란드행은 그의 여덟 번째 현장 방문이다.
그는 2018년 제주 예멘 난민 사태 때도 소신 발언을 이어가는 등 꾸준히 난민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촉구해왔다.
2019년엔 난민 관련 활동 5년을 기록한 에세이 '내가 본 것을 당신도 볼 수 있다면'을 펴냈다.
정우성은 난민 이슈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자신을 향한 외부의 비난 등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모든 사람이 같은 이해(관계)로 바라볼 수는 없다"며 "그 상황을 잘 모르거나 오해로 공격할 수 있는데 감당해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또 "(난민 관련) 일을 하면서 후회한 적은 없다"고 했다. /연합뉴스
"
유엔난민기구(UNHCR) 친선대사로 활동하는 배우 정우성(49)은 19일 서울 중구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폴란드 미션'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밝혔다.
정우성은 이달 초 1주일간 유엔난민기구 협력 기관이 운영하는 난민지원센터 '블루 닷'과 난민들의 주요 유입 기차역인 루블린 역 등을 방문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발생한 난민들을 만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약 3년 만의 현장 방문이다.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올해 2월 24일 전쟁이 발생한 이후 우크라이나를 떠난 난민은 600만 명 이상이다.
이들은 각국에서 난민의 지위를 부여받거나 임시 보호 제도의 적용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폴란드에 등록된 난민은 가장 많은 약 140만 명이다. 정우성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한국사회에 가장 민감하게 전달되는 것 같아 폴란드를 선택했다"며 "전 세계 난민이 1억 명이라는 수치를 바라볼 때 어떤 마음가짐으로 (난민 이슈에) 임해야 할까 많이 고민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난민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과 교감하기 위해 사연을 듣는데 주안점을 뒀다. 현지에서 만난 이들의 이야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고자 다이어리를 들고 다니며 이름과 대화 내용 등을 꼼꼼히 적었다고 했다.
미술을 공부하는 이나 베레즈카는 탱크가 도시 안에서 진격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우크라이나를 떠날 결심을 했다며 정우성에게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들려줬다.
건설회사 직원인 이반은 음식을 사러 차량으로 이동하다가 폭격을 받아 정신을 잃었지만, 다시 의식을 찾고 가족과 재회한 일화를 소개했다.
정우성은 "난민들은 전쟁의 장기화로 지쳐가고 있고, 생활을 이어가는 데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서도 "언젠가 전쟁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긴 싸움을 이겨낼 준비를 하는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난민 사태는 어떤 사건이 발생해 어려움에 봉착한 피해자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평화에 대한 이야기"라며 "난민을 바라볼 때 인류 안에서의 평화가 얼마나 가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우성은 "누구를 위한 전쟁이냐는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러시아가 병력 보충을 위해 부분 동원령을 내리고, 남성들이 징집을 피하고자 러시아를 탈출하고 있는 상황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정치적인 선택 이면엔 국가 간 이해관계로 노림수들이 다 다르다"며 "정치 지도자들의 잘못된 선택을 비판하기보다는 시민들의 연대의 힘으로 극복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는 의견도 냈다.
2014년 유엔난민기구 명예사절을 시작으로 이듬해부터 친선대사로 활동 중인 정우성은 그간 레바논과 남수단, 로힝야 등 주요 난민 발생 국가를 찾았다.
이번 폴란드행은 그의 여덟 번째 현장 방문이다.
그는 2018년 제주 예멘 난민 사태 때도 소신 발언을 이어가는 등 꾸준히 난민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촉구해왔다.
2019년엔 난민 관련 활동 5년을 기록한 에세이 '내가 본 것을 당신도 볼 수 있다면'을 펴냈다.
정우성은 난민 이슈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자신을 향한 외부의 비난 등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모든 사람이 같은 이해(관계)로 바라볼 수는 없다"며 "그 상황을 잘 모르거나 오해로 공격할 수 있는데 감당해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또 "(난민 관련) 일을 하면서 후회한 적은 없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