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폴란드 원전 수주 '청신호'…2030년까지 10기 수출 '탄력'
입력
수정
지면A5
현지 언론 "한수원, 2주내 건설 의향서 서명"한국수력원자력이 2주 안에 폴란드 민간 에너지기업 제팍, 폴란드전력공사(PGE) 등과 신규 원전 건설사업 의향서(LOI)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폴란드 매체 제치포스폴리타 등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한국의 폴란드 원전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수원이 폴란드에서 원전 건설사업을 따내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 이후 13년 만에 원전 수출이 재개되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의 ‘2030년까지 원전 10기 이상 수출’ 목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원전 2기 건설…최소 10조 예상
K방산 이어 원전 성과 가시화
별도 6기 수주는 美·佛과 3파전
체코·사우디 사업도 참여 추진
美와 협력·경쟁…'윈윈' 필요
13년 만에 원전 수출 재개되나
한수원이 추진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제팍이 운영 중인 패트누프 갈탄발전소가 2024년 말 운영을 중단하면 이 부지에 원전을 짓는 사업이다. 폴란드가 기존에 짓기로 한 루비아토보·코팔리노 일대 원전 6기 건설사업과는 별개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한수원은 폴란드 정부의 원전 6기 건설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지난 4월 사업제안서를 제출해 미국 웨스팅하우스, 프랑스전력공사(EDF)와 3파전을 벌이고 있는데, 이와 별개로 현지 에너지기업과 추가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것이다.프로젝트 규모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최소 2기 이상, 금액 기준으론 10조원이 넘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폴란드 원전사업에 어떤 형태로든 한국이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폴란드 원전 수주전에서 러시아와 중국은 배제된 상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인 폴란드가 NATO와 껄끄러운 러시아, 중국을 원전사업 파트너로 선택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국은 기술력뿐 아니라 공사비와 계약기간 내 완공 능력 등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이 폴란드와 방위산업 분야에서 밀착하고 있는 점도 원전 수주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한국은 최근 폴란드에 국산 다연장로켓(MLRS) 천무를 비롯해 K-2 전차,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를 수출하는 계약을 맺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6월 한·폴란드 정상회담에서 방산·원전 협력을 논의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올 6월 취임 후 첫 출장지로 체코와 폴란드를 찾아 원전 세일즈에 힘을 실었다.여기에 국제 유가와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뛰면서 원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폴란드 원전 건설 수주에 성공하면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목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원전을 짓겠다고 한 국가 외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규 원전 건설을 검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에너지 안보 위기가 한국의 원전 수출 전략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는 경쟁·협력
한국이 원전 수출을 늘리기 위해선 미국과의 공조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은 최근 원전 수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원전 수주전에서 한국과의 경합도 늘어나고 있다. 당장 폴란드 정부의 기존 6기 원전 건설사업에서 웨스팅하우스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 이 중 최소 2기 이상의 원전을 수주하기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국은 체코 두코바니 지역에 원전 1~2기를 짓는 사업에서도 웨스팅하우스, EDF 등과 경쟁하고 있다.사우디아라비아의 원전 수주전에는 미국이 참여하고 있지 않지만 한국으로선 미국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한국형 원자로(APR1400)의 원천 기술을 미국이 보유하고 있어 수출 시 미국의 사전 동의가 필요하다. 사우디아라비아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을 거부해 미국이 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는 원전 수출에서 경쟁과 협력이 동시에 필요한 상황”이라며 “양국이 윈윈할 절충점을 잘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