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이즈백 '투명병'이 환경파괴?…"빈병 회수율 32%"
입력
수정
지난해 하이트진로가 판매한 ‘진로이즈백’의 공병 회수율이 세병 중 한명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로이즈백 공병은 타사의 초록색 표준 용기와 달리 투명한 비표준 용기(이형병)를 사용하고 있다.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진로이즈백’의 출고량 대비 회수율은 32.2%에 그쳤다.이에 비해 소주 공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에 따른 표준용기인 ‘참이슬 후레쉬’의 공병 회수율은 115.6%에 달했다. 전체 주류회사를 따져봐도 초록색 병인 표준 용기 회수율은 109.2%에 이르렀다. 하지만 비 표준용기 회수율은 34.9% 수준에 머물렀다.
전체 비 표준용기 중 진로이즈백의 출고 비율은 92.2%에 달한다. 사실상 진로이즈백의 회수율이 비표준용기 소주병 회수율의 지표인 셈이다.
이학영 의원은 "지난해 하이트진로가 언론을 통해 ‘진로이즈백’의 2020년 상반기 회수율이 90% 이상이라 밝혔던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꼬집었다.소주 업계는 초록색 공용병을 사용하는 '소주 공용병 재사용 자율협약'을 2009년 체결해 10년간 유지해왔지만, 2020년 하이트 진로가 투명 병에 담긴 진로이즈백을 출시하면서 협약에 금이 갔다.
타사들은 협약을 위반한 이형병이라고 반발했다. 초록색 병은 소주업체가 타사 제품 빈 병까지 회수해 세척 과정을 거쳐 재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형병의 경우 타사제품 병을 따로 분류한 뒤 해당 생산사에 돌려줘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별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진로이즈백이 출시 7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이 1억병을 돌파하면서 재활용 시스템 붕괴에 대한 우려가 더 커졌다.이학영 의원은 "하이트 진로는 소주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한 기업임에도, 매출 증대를 위해 협약을 어기고 비표준용기 사용을 강행하고 있다"며 "이를 비판하던 롯데주류마저 최근 비표준용기를 사용한 소주 제품을 출시하며 소주업계 1·2위사가 자원순환을 위한 빈용기보증금제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환경노동위원회는 국정감사에서 비표준용기 사용문제에 대한 환경부 대책 등을 확인하고, 페널티 부과 방안 마련 등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진로이즈백’의 출고량 대비 회수율은 32.2%에 그쳤다.이에 비해 소주 공병 공용화 자발적 협약에 따른 표준용기인 ‘참이슬 후레쉬’의 공병 회수율은 115.6%에 달했다. 전체 주류회사를 따져봐도 초록색 병인 표준 용기 회수율은 109.2%에 이르렀다. 하지만 비 표준용기 회수율은 34.9% 수준에 머물렀다.
전체 비 표준용기 중 진로이즈백의 출고 비율은 92.2%에 달한다. 사실상 진로이즈백의 회수율이 비표준용기 소주병 회수율의 지표인 셈이다.
이학영 의원은 "지난해 하이트진로가 언론을 통해 ‘진로이즈백’의 2020년 상반기 회수율이 90% 이상이라 밝혔던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꼬집었다.소주 업계는 초록색 공용병을 사용하는 '소주 공용병 재사용 자율협약'을 2009년 체결해 10년간 유지해왔지만, 2020년 하이트 진로가 투명 병에 담긴 진로이즈백을 출시하면서 협약에 금이 갔다.
타사들은 협약을 위반한 이형병이라고 반발했다. 초록색 병은 소주업체가 타사 제품 빈 병까지 회수해 세척 과정을 거쳐 재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형병의 경우 타사제품 병을 따로 분류한 뒤 해당 생산사에 돌려줘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별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진로이즈백이 출시 7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이 1억병을 돌파하면서 재활용 시스템 붕괴에 대한 우려가 더 커졌다.이학영 의원은 "하이트 진로는 소주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한 기업임에도, 매출 증대를 위해 협약을 어기고 비표준용기 사용을 강행하고 있다"며 "이를 비판하던 롯데주류마저 최근 비표준용기를 사용한 소주 제품을 출시하며 소주업계 1·2위사가 자원순환을 위한 빈용기보증금제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환경노동위원회는 국정감사에서 비표준용기 사용문제에 대한 환경부 대책 등을 확인하고, 페널티 부과 방안 마련 등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