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청년들 만난 김주영·이문열…"글 오래 쓰려면 함께 써라"

소설가 김주영·이문열, 단국대 문창과 학생과 경북 문학기행

金 "글쓰기 비법은 수첩"
보부상 이야기 다룬 소설
작은 수첩 들고 전국 장터 돌아
돋보기 봐야할 정도로 깨알 글씨
"좋은 글감도 적지 않으면 사라져"

李 "첫 합동평가의 기억 강렬해"
기차역에 대해 썼던 짧은 수필
글 읽고 나니 말없이 박수 받아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기분 신기해
"10년 무명…계속 쓰니 작가 됐
소설가 김주영 선생(왼쪽)과 이문열 선생이 지난 20일 경북 영양의 한 술집에서 40년 인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박정호 사진작가
거창한 말들은 없었다. 한국 문학사의 굵직한 획을 그었지만 거장들은 소소한 이야기와 가벼운 농담으로 가을밤 술잔을 채웠다. 소설가 김주영 선생(83)과 이문열 선생(74)은 40년간의 인연을 스스럼없이 문학과 인생 그리고 우정으로 풀어냈다.

김 선생이 “어이” 하고 막걸리잔을 내밀면 이 선생이 잔을 맞부딪히며 말했다. “내가 형님한테는 꼼짝을 못 한다니까. 문단의 큰 선배인데다 우리 큰형 친구이기도 해서 아주 꽉 잡혔지.”(웃음) 경북 청송에서 나고 자란 김 선생과 경북 영양 출신인 이 선생은 경북 출신 동료문인으로 수십 년간 인연을 이어왔다. 술이 몇 순배 오간 뒤 김 선생이 문득 말했다. “이문열이가 말은 잘 못 해도, 글은 정확하게 쓰는 작가야.”

대선배와 만난 문학청년들

국내 대표 문인 두 사람이 지난 20일 영양에서 만났다. 이들은 각각 서울과 경기 이천에서 3시간 가까이 차를 타고 고향을 찾았다. ‘후배 문청(文靑·문학청년)’들을 만나고 싶은 마음에 기꺼이 산골짜기까지 발걸음을 옮겼다. 요즘 젊은 사람들 얼굴도 보고 조언도 몇 마디 해줄 요량이었다.

문학인을 꿈꾸는 단국대 문예창작과 대학원생 20여 명은 이렇게 문학계의 대선배와 마주하게 됐다. 학과장인 안도현 시인과 소설가 해이수 교수가 함께했다. 시인이자 문학여행 기획자인 이종주 음식시학 대표, 이희범 전 상공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이사장으로 있는 경북문화재단이 힘을 보태 마련한 자리였다.

“첫 합평의 기억이 날 작가로 만들어”

이 선생은 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에서 진행된 강연에서 청년들에게 “사범대에 갈 때까지만 해도 창작에 대한 뜻은 명확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작가를 본격적으로 꿈꾸게 된 계기를 우연히 접한 문학회와 합평회에서 찾았다. 합평회는 예비문인들이 각자 쓴 글을 함께 읽고 평가하는 자리다. “기차역에 대해 짧은 수필을 써갔죠. 어려서 이사를 자주 다녔는데 그래서 제일 많이 경험한 공식적 장소가 기차역이었든요.” 그의 아버지는 6·25전쟁 때 월북했다. 주위의 따가운 시선을 피하려 그의 가족들은 2~3년에 한 번씩 이사를 다녔다. 이 기억은 훗날 그의 소설 <변경> <타오르는 추억> 등에 녹아들었다.첫 번째 합평의 기억은 강렬했다. 계속 글을 쓰게 한 동력이 됐다고 표현할 정도였다. 이 선생은 첫 합평을 만해 한용운의 시를 인용해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이라 표현했다. “내가 글을 읽고 나니 다들 조용해요. ‘나를 무시하나?’ 싶었는데 곧 말없이 박수를 치더라고요. ‘글을 써서 사람들에게 인정받으면 이런 기분이구나’ 하는 걸 그날 처음으로 경험했죠.”

그는 1979년 <새하곡>으로 등단한 이후 <사람의 아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굵직한 작품을 통해 시대를 직시하며 문단과 대중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그는 등단 전까지 “이도 저도 아닌 사람”이라고 했다. 방황으로 산 세월이 10년을 채워갔다. 지금의 이 자리까지 어떻게 오게 됐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는 뭘 말해줘야 할지 고민했다. 이 선생은 강연을 마무리하며 말했다. “창작의 길을 어떻게 걸어왔는지 나도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계속 쓰다 보니 어느 날 작가가 돼 있었습니다.”

“예술가는 상식에 매몰되지 말아야”

다음날에는 김 선생의 강연이 이어졌다. 청송 객주문학관에서 강연한 김 선생은 “상식에 매몰되지 마라”고 강조했다.그는 어느 세관원의 이야기를 예시로 들기도 했다. 세관원은 매일 수상한 남자를 본다. 이 남자는 모래가 가득 든 가방을 메고 자전거로 국경을 오간다. 모래가 아닌 마약일까 봐 과학수사도 벌이지만 물증을 찾지 못한다. 결국은 남자가 고백한다. “사실은 내가 자전거를 밀수하고 있다.” 김 선생은 “상식에 매몰된 사람의 허를 찌르는 이야기”라며 “이런 이야기를 찾아내는 게 예술가들이 할 일”이라고 했다.

김 선생은 “글 쓰는 사람들과 늘 붙어 다녀야 한다”며 “그래야 나도 결국 글을 쓰게 된다”고도 했다. 언제나 수첩을 들고 다니는 것 역시 그의 글쓰기 ‘비법’이다. 보부상의 이야기를 다룬 10권짜리 대하소설 <객주>를 쓸 때도 마찬가지였다. 객주문학관에 전시된 그의 수첩에는 돋보기를 들이대야 겨우 보이는 깨알 같은 글씨가 가득하다. 전국 장터를 돌며 소설을 쓴 그는 수첩 부피를 줄이느라 작은 글씨로 메모했다. “아무리 좋은 글감이라도 적지 않으면 결국은 사라집니다.” 김 선생은 이날 문학관 내부 자신의 집필실 ‘여송헌’도 특별히 공개했다.

예비 문인들은 이번 문학기행의 경험을 각자 글로 써 작품집을 낼 예정이다. 아동문학 석·박사 통합과정생 최송희 씨(28)는 “김주영, 이문열 선생의 이야기를 직접 들으며 제 문학세계를 더욱 탄탄히 꾸려나가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읽고 쓰는 것뿐만 아니라, 보고 듣고 걷고 이야기 나누는 모든 순간이 문학이 될 수 있음을 다시금 실감했다”고 말했다.

영양·청송=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