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클라우드 글로벌 기업에 문호 넓혀야 서비스 좋아지고 혁신 가능"
입력
수정
지면B7
'세계 최대 클라우드 AWS' 피터 무어 亞·太 공공부문총괄“각국 정부가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를 활용해 디지털 전환을 이루고 있습니다. 글로벌 혁신 경쟁이 치열한 와중에 더 좋은 기술을 쓰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요.”
데이터 보호 당연한 일이지만
과도한 방어막은 효용 떨어트려
우선 민감도 낮은 부문이라도
해외 사업자 진입장벽 철폐
탄력적인 데이터 트래픽 관리와
AI·빅테이터 분석에도 도움될 것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피터 무어 아시아태평양지역 공공부문총괄(사진)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최근 정보기술(IT)업계 안팎에서 ‘뜨거운 감자’가 된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을 두고 한 말이다.그간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은 외국 기업의 불모지였다. 국내에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려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나 국가정보원의 보안 인증을 취득해야 하는데, 이 중 하나인 CSAP는 외국 클라우드 서비스가 충족하기 어려운 조건을 달아서다. CSAP를 받으려면 민간용과 물리적으로 구분된 공공기관 전용 서버를 국내에 설치해야 한다. 지금까지 CSAP를 받은 기업이 모두 국내 사업자인 이유다.
정부는 최근 이 요건을 완화하는 데이터등급제 개편안을 검토하고 있다. 데이터 민감도가 낮은 대민 서비스에 한정해 공공용 서버와 민간용 서버를 소프트웨어 방식으로만 구분해 운영하는 외국 클라우드 기업에도 문을 열어준다는 게 골자다.
그동안 정부가 글로벌 사업자에 공공 클라우드 ‘진입장벽’을 친 대표적 근거는 보안이다. 국내 데이터를 외국 사업자가 관리할 경우 안보에 지장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 무어 총괄은 이에 대해 “이미 일본, 싱가포르, 호주 등 아태지역 국가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정부 기관 약 7500곳이 AWS를 쓰고 있다”며 “AWS는 자체 보안 기준과 컴플라이언스(준법) 기준도 가장 많이 두고 있는 클라우드 사업자”라고 말했다.그는 “정부가 주요 데이터를 보호하려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그 과정에서 과도한 방어막을 적용해 국민이 충분히 누릴 수 있는 효용을 놓치게 되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며 “민감도가 낮은 데이터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다면 여러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더 빠르게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기반 공공 서비스는 장점이 많다. 매 순간 달라지는 데이터 전송량(트래픽)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게 대표적이다. 고속도로 교통정보의 경우엔 명절 연휴에 트래픽이 급증한다. 하지만 정부나 공공기관이 이에 맞춰 서버를 구축하는 게 100% 능사는 아니다. 데이터 전송 수요가 적은 나머지 350일가량엔 컴퓨팅 자원이 상당히 남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클라우드를 쓰면 수요에 맞춰 그때그때 컴퓨팅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대민 서비스가 보다 고도화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무어 총괄은 “AWS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서비스나 빅데이터 분석 등을 자체적으로 제공한다”며 “각 기관이 이를 가져다 특화 서비스를 만들면 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외국 기업 등에 공공클라우드 시장이 막혀있는 국내에선 아직 공공 서비스 사례가 없지만, 민간기업에선 이미 이같은 효용을 기업과 소비자가 두루 누리고 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11번가 사례가 대표적이다. 11번가는 양방향 라이브커머스 서비스 'LIVE11' 운영을 위해 AWS와 협업했다. AWS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비롯해 각종 멀티미디어 관련 기능을 아울러 썼다. AWS의 시간 기반 메타데이터 기능을 기반으로는 양방향 대화형 서비스를 구현했다.
AWS는 라이브 서비스 지연시간이 3초 이내로 여타 서비스 대비 매우 짧아 라이브 커머스에 활용도가 높다는 게 AWS 측의 설명이다. 덕분에 11번가의 LIVE11은 AWS 적용 후 누적 시청횟수가 적용 이전 대비 크게 뛰었다. AWS 적용 이전 11개월간은 3500만 조회수를 냈지만, AWS 적용 후 3개월간은 조회수가 7660만건에 달했다.
기업과 협업해 혁신 대민 서비스도 늘릴 수 있다. 지금까지는 국내 기업과 스타트업이 AWS를 쓸 경우 직접 공공 서비스 협업을 할 수 없는 구조다. 대기업이라면 국내 클라우드와 별도로 계약해 정부와의 협업에 나설 수 있지만, 자금 여유가 상대적으로 적은 스타트업은 그렇게 하기 어렵다. 글로벌 서비스 확장과 국내 공공 서비스 협업 중 하나를 택해야 할 때가 많다는 얘기다. 무어 총괄은 “클라우드 시장이 열린다면 공공부문 혁신이 더욱 촉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