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의 아침 시편] 연암 박지원은 거구에 쌍꺼풀…
입력
수정
연암에서 형님을 생각하며(燕巖憶先兄)
우리 형님 얼굴 수염 누구를 닮았던가.
아버지 생각날 때마다 형님을 쳐다봤지.
이제 형님 그리운데 어디에서 볼까
의관 갖춰 입고 냇물에 비춰봐야겠네.
* 박지원(1737~1805) : 『열하일기』 저자.☞ [고두현의 아침 시편]이 드디어 책으로 묶여 나왔습니다. 제목은 『리더의 시, 리더의 격』(한국경제신문 펴냄)입니다. 제 편지를 읽고 정성껏 답장을 보내 주신 황태인 토브넷 회장님과 함께 시와 경영의 금맥을 탐색했습니다.
위 배너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인터넷서점의 책 소개를 볼 수 있고 간편하게 구입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우리 아침 시편 식구들의 따뜻한 관심과 응원을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오늘 읽어드리는 시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이 51세 때인 1787년에 형을 추모하며 쓴 것입니다. 그보다 일곱 살 위인 형 박희원(朴喜源)은 그해 7월 세상을 떠났지요. 1월에 동갑내기 부인을 떠나보낸 데 이어 맏며느리까지 잃고 난 뒤여서 그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떨어져 사는 동안에도 연암의 형제애는 각별했지요. 형님에게 자식이 없자 둘째 아들이 태어나기도 전에 첫아들을 양자로 보낼 정도였습니다. 정조 즉위 직후 세도를 부리던 홍국영의 표적이 돼 황해도 금천의 연암골로 피신했을 때도 형님 식구들을 설득해 함께 갔다고 합니다. 그의 호 연암은 이 골짜기 이름을 딴 것이죠.
형님보다 9년 먼저 세상을 떠난 형수에게는 절절한 묘지명을 지어 바쳤습니다. 연암골 집 뒤에 마련한 형수의 묘에 형님을 합장하고 애틋한 추모시까지 바쳤으니, 연암의 속정이 얼마나 깊었는지 알 만합니다. 그런데 추모시 치고는 뭔가 좀 이상하지요? 무겁고 슬픈 게 아니라 동심 같은 순수와 해학이 곁들여져 빙그레 웃음까지 짓게 만듭니다. 닮은꼴 ‘붕어빵’ 가족의 아릿한 유머라고나 할까…. 형님 얼굴과 수염이 아버지를 닮았고 자신은 그런 형님을 빼닮았다는데 실제로 연암의 외모는 어땠을까요?
아들 박종채가 『과정록(過庭錄)』에 묘사한 것을 보면 큰 키에 살이 쪄서 몸집이 매우 컸고, 얼굴은 긴 편이며 안색이 붉고 광대뼈가 불거져 나온 데다 눈에는 쌍꺼풀이었습니다. 그의 초상화와 거의 일치하는 모습이지요.
어디 연암만 그랬을까요. 2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느 날 무심코 거울을 보다 깜짝 놀라는 중년 남자들이 많지요. 벗겨진 이마와 늘어나는 주름, 여기저기 새치가 희끗거리는 모습이 영락없는 아버지여서 그렇습니다.
연암의 ‘냇물에 비친 자화상’도 그랬겠지요. 굳이 거울 대신 냇가에 나가 물 위에 자기 모습를 비춰보는 마음이 참으로 선하게 다가옵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우리 형님 얼굴 수염 누구를 닮았던가.
아버지 생각날 때마다 형님을 쳐다봤지.
이제 형님 그리운데 어디에서 볼까
의관 갖춰 입고 냇물에 비춰봐야겠네.
* 박지원(1737~1805) : 『열하일기』 저자.☞ [고두현의 아침 시편]이 드디어 책으로 묶여 나왔습니다. 제목은 『리더의 시, 리더의 격』(한국경제신문 펴냄)입니다. 제 편지를 읽고 정성껏 답장을 보내 주신 황태인 토브넷 회장님과 함께 시와 경영의 금맥을 탐색했습니다.
위 배너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인터넷서점의 책 소개를 볼 수 있고 간편하게 구입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우리 아침 시편 식구들의 따뜻한 관심과 응원을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오늘 읽어드리는 시는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이 51세 때인 1787년에 형을 추모하며 쓴 것입니다. 그보다 일곱 살 위인 형 박희원(朴喜源)은 그해 7월 세상을 떠났지요. 1월에 동갑내기 부인을 떠나보낸 데 이어 맏며느리까지 잃고 난 뒤여서 그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긴 얼굴에 광대뼈…안색은 붉은 편
연암은 2남2녀 중 막내로 태어나 형을 무척 따랐죠. 서른한 살 때인 1767년에 아버지 박사유(朴師愈)가 64세로 돌아가셨는데, 아버지는 백면서생으로 소일하다 늦게야 음서로 출사해 정5품 통덕랑에 머물렀습니다. 연암은 유산을 가난한 형에게 몰아주고 서대문 밖으로 집을 옮겼습니다.떨어져 사는 동안에도 연암의 형제애는 각별했지요. 형님에게 자식이 없자 둘째 아들이 태어나기도 전에 첫아들을 양자로 보낼 정도였습니다. 정조 즉위 직후 세도를 부리던 홍국영의 표적이 돼 황해도 금천의 연암골로 피신했을 때도 형님 식구들을 설득해 함께 갔다고 합니다. 그의 호 연암은 이 골짜기 이름을 딴 것이죠.
형님보다 9년 먼저 세상을 떠난 형수에게는 절절한 묘지명을 지어 바쳤습니다. 연암골 집 뒤에 마련한 형수의 묘에 형님을 합장하고 애틋한 추모시까지 바쳤으니, 연암의 속정이 얼마나 깊었는지 알 만합니다. 그런데 추모시 치고는 뭔가 좀 이상하지요? 무겁고 슬픈 게 아니라 동심 같은 순수와 해학이 곁들여져 빙그레 웃음까지 짓게 만듭니다. 닮은꼴 ‘붕어빵’ 가족의 아릿한 유머라고나 할까…. 형님 얼굴과 수염이 아버지를 닮았고 자신은 그런 형님을 빼닮았다는데 실제로 연암의 외모는 어땠을까요?
아들 박종채가 『과정록(過庭錄)』에 묘사한 것을 보면 큰 키에 살이 쪄서 몸집이 매우 컸고, 얼굴은 긴 편이며 안색이 붉고 광대뼈가 불거져 나온 데다 눈에는 쌍꺼풀이었습니다. 그의 초상화와 거의 일치하는 모습이지요.
시집가는 누나 미워 화장품에 먹물을
그의 제자 이덕무(1741~1793)는 추모시 ‘연암에서 형님을 생각하며(燕巖憶先兄)’를 읽고 “정이 지극하여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게 하니 정말 진실되고 절절하다. 내가 선생의 시를 읽고 눈물 흘린 것이 두 번이었다”고 했습니다. 이덕무가 말한 또 하나의 눈물겨운 시는 큰누나가 세상을 떠났을 때 연암이 묘지명에 쓴 시 ‘누님을 보내며’입니다. ‘아, 누님이 시집가던 날/ 새벽 화장하던 것이 어제 일만 같구나./ 나는 그때 막 여덟 살이었네’로 시작하는데, 시집가는 누나가 미워 화장품에 먹물을 섞어놨던 일화까지 언급하며 아련한 ‘눈물 웃음’의 세계로 우리를 이끕니다.어디 연암만 그랬을까요. 2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느 날 무심코 거울을 보다 깜짝 놀라는 중년 남자들이 많지요. 벗겨진 이마와 늘어나는 주름, 여기저기 새치가 희끗거리는 모습이 영락없는 아버지여서 그렇습니다.
연암의 ‘냇물에 비친 자화상’도 그랬겠지요. 굳이 거울 대신 냇가에 나가 물 위에 자기 모습를 비춰보는 마음이 참으로 선하게 다가옵니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