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해설작가들이 '눈에 선하게' 읽은 책은 [작가의 책갈피]
입력
수정
베테랑 화면해설작가 5인,
최근 출간

화면해설작가의 세계를 소개하는 책 <눈에 선하게>를 함께 쓴 화면해설작가 권성아(51), 김은주(46), 이진희(46), 임현아(37), 홍미정(51) 작가 다섯 사람을 최근 만나 '인상 깊게 읽은 책'을 물었다.글쓰기 비결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다. 술술 읽히는 문장, 독자를 울고 또 웃기는 매끄러운 전개… 책을 읽다 보면 저자들의 글쓰기 내공을 실감할 수 있다.
물론 화면해설작가에게는 매일이 글쓰기 훈련이다. 이들은 10년 넘게 화면해설작가로 일해온 베테랑 작가들이다. 안 보고도 본 것처럼 이해시키는 글을 날마다 써내는 사람들이다. 대사와 음향효과 사이, 좁은 틈에 효과적인 해설을 끼워 넣느라 머리를 쥐어뜯는 게 일상이다. 임현아 작가는 “다큐멘터리, 역사극 등을 설명하려면 다양한 배경지식이 필요해 늘 공부해야 한다”고 했다.

이 책은 독립출판물이라 현재 구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이 책의 주제는 언제나 유효하다. 시각장애인들 역시 비시각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주체적이고 다채롭게 각자의 삶을 그려나가고 있다는 것. 저마다의 취향으로 삶을 가꾸는 사람들이고, 그럴 권리가 있다는 것. 화면해설작가들이 졸린 눈을 비비며 매일 화면해설 방송을 만들어내고 있는 이유다.홍미정 작가는 다섯 명의 저자를 대표해 머리말에 이렇게 썼다. "본다는 것은 우리 마음속에 풍경을 그리는 일과 같을 것이다. 볼 수 없는 이들과 이 세상 모든 것을 함께 '보기' 위해, 저 영화를 직접 볼 수 없어도 우리들의 원고를 통해 영화 속 장면들이 그분들의 마음속에 그려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한다.
이 책을 통해 화면해설 방송이, 그리고 화면해설작가의 고되지만 의미 있는 작업이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더불어 화면해설 방송이 더욱 많이 제작돼 지금보다 더 많은 시각장애인분들의 귀에 가닿기를 바랄 뿐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