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정점론 나오지만 그래도 5%대 상승…한국경제엔 악재
입력
수정
통계청 "7월(6.3%) 정점 가능성…당분간 5%대 상승세"
환율·원자재 가격 등 대외리스크 여전…추가 금리인상 요인될 듯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를 기록, '7월 정점설'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당분간 유의미한 상승률 둔화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 환율이나 원자재 가격 등 대외 변수가 여전한 데다 개인서비스 등 물가의 기조적 흐름이 여전히 강한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고물가는 결국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부추겨 한국경제에 악재로 작용하게 된다.
◇ 석 달 만에 오름폭 커졌지만 정점까진 안가
통계청은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9.21(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고 2일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7월 6.3%를 기록한 이후 8월 5.7%, 9월 5.6%로 둔화하다가 석 달 만에 다시 오름세를 확대한 것이다.
석 달 만에 오름폭을 확대한 것도, 기본적으로 5.7%라는 물가 수준도 모두 경제주체들에는 부담스러운 소식이지만 10월이 또 다른 물가 정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악은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돌발적 외생변수가 없다면 늦어도 10월께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을 수 있다고 예상한 바 있다. 한훈 통계청장은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물가는) 현실적으로 7월이 가장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정부나 통계청이 7월에 소비자물가가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10월 중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10월 정점론의 여지를 열어뒀지만 다행히 10월 물가(5.7%)가 7월의 수준(6.3%)까지 가진 않은 것이다. ◇ 힘받는 7월 정점론…그래도 당분간 5%대
10월 물가 상승률이 전월 대비로 0.1%포인트만 더 오르면서 7월 정점론은 더욱 힘을 받게 됐다. 문제는 그렇다고 물가가 시원하게 내려가는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더 심하게 오르지 않을 뿐이지 이런 수준의 물가가 당분간 이어진다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환율·원자재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을 들어 "물가 상승세가 점차 둔화하겠지만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통계청은 앞으로 물가가 6%대까지 올라설 가능성은 작지만 당분간 5%대의 높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는 내년 1분기까지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종합하면 물가가 7월 정점인 6.3%까지 가진 않겠지만 5%대는 상당 기간 지속된다는 것이다.
내부적으로 보면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률이 8월 6.1%에서 9월 6.4%로 상승 폭을 키운 데 이어 10월에도 6.4%를 기록했다.
지난달부터 나란히 인상된 전기·가스요금도 물가 상승 폭을 키우는 데 일조하고 있다. ◇ 5%대 물가 → 금리 인상 → 경제 악재
5%를 크게 웃도는 물가는 한국은행 입장에서 보면 기준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5% 이상이면 통화정책을 성장보다 물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경기 둔화의 흐름이 완연한 상황에서 지속되는 금리 인상은 결국 침체의 속도를 높이는 결과를 낸다.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다중채무자나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에서 대출금리까지 급격한 속도로 오르기 때문이다.
대출금리 부담은 올해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소비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엔진'이었던 수출은 지난달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바 있다. 한국경제로 보면 내외부에서 모두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연합뉴스
환율·원자재 가격 등 대외리스크 여전…추가 금리인상 요인될 듯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를 기록, '7월 정점설'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당분간 유의미한 상승률 둔화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 환율이나 원자재 가격 등 대외 변수가 여전한 데다 개인서비스 등 물가의 기조적 흐름이 여전히 강한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고물가는 결국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부추겨 한국경제에 악재로 작용하게 된다.
◇ 석 달 만에 오름폭 커졌지만 정점까진 안가
통계청은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9.21(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고 2일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7월 6.3%를 기록한 이후 8월 5.7%, 9월 5.6%로 둔화하다가 석 달 만에 다시 오름세를 확대한 것이다.
석 달 만에 오름폭을 확대한 것도, 기본적으로 5.7%라는 물가 수준도 모두 경제주체들에는 부담스러운 소식이지만 10월이 또 다른 물가 정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악은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돌발적 외생변수가 없다면 늦어도 10월께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을 수 있다고 예상한 바 있다. 한훈 통계청장은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물가는) 현실적으로 7월이 가장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정부나 통계청이 7월에 소비자물가가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도 10월 중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10월 정점론의 여지를 열어뒀지만 다행히 10월 물가(5.7%)가 7월의 수준(6.3%)까지 가진 않은 것이다. ◇ 힘받는 7월 정점론…그래도 당분간 5%대
10월 물가 상승률이 전월 대비로 0.1%포인트만 더 오르면서 7월 정점론은 더욱 힘을 받게 됐다. 문제는 그렇다고 물가가 시원하게 내려가는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더 심하게 오르지 않을 뿐이지 이런 수준의 물가가 당분간 이어진다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환율·원자재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성 등을 들어 "물가 상승세가 점차 둔화하겠지만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통계청은 앞으로 물가가 6%대까지 올라설 가능성은 작지만 당분간 5%대의 높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는 내년 1분기까지 5%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종합하면 물가가 7월 정점인 6.3%까지 가진 않겠지만 5%대는 상당 기간 지속된다는 것이다.
내부적으로 보면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률이 8월 6.1%에서 9월 6.4%로 상승 폭을 키운 데 이어 10월에도 6.4%를 기록했다.
지난달부터 나란히 인상된 전기·가스요금도 물가 상승 폭을 키우는 데 일조하고 있다. ◇ 5%대 물가 → 금리 인상 → 경제 악재
5%를 크게 웃도는 물가는 한국은행 입장에서 보면 기준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5% 이상이면 통화정책을 성장보다 물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경기 둔화의 흐름이 완연한 상황에서 지속되는 금리 인상은 결국 침체의 속도를 높이는 결과를 낸다.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다중채무자나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에서 대출금리까지 급격한 속도로 오르기 때문이다.
대출금리 부담은 올해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소비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엔진'이었던 수출은 지난달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바 있다. 한국경제로 보면 내외부에서 모두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