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세대 간 디지털 격차 줄여야 경제성장"
입력
수정
지면A6
글로벌 인재포럼 2022“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세대 간 디지털 격차가 가장 큰 국가입니다. 한국이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선 세대 사이의 기술 격차를 줄여야 합니다.”
대전환 시대의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엘 이자 모하메두 OECD 인적역량센터 센터장(사진)은 2일 열린 ‘글로벌인재포럼 2022’에서 ‘대전환 시대의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주제로 한 특별세션에 연사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모하메두 센터장은 “한국의 젊은 세대와 고령층은 기술뿐만 아니라 수리력, 독해력 등 근본적인 능력에서도 격차가 크다”며 “디지털화, 기후변화 등으로 사회가 빠르게 변하는 대전환 시기엔 전(全) 생애에 걸친 역량 개발 기회를 마련해 격차를 줄이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함께 연사로 나선 페카 메초 주한 핀란드 대사는 평생교육과 관련한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을 소개했다. 메초 대사는 “핀란드는 ‘미래를 위한 세계 교육지수(WEFFI)’ 1위이자 디지털 역량 1위, 4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 1위로 꼽혔다”며 “이 같은 1위 성적표는 누구든 언제나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높은 노동 유연성과 사회적 유연성을 갖췄기 때문에 달성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핀란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고령화로 인해 이민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민자들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선 이들의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철우 한국공학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인재 양성을 위한 여러 정책의 유기적 조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반도체처럼 특정 산업에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당장 대학에 특정 학과를 개설하자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데, 이렇게 한쪽에 치우친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고 했다. “전공을 새로 만들어 졸업자를 배출하려면 6~7년이 걸리는데 당장 시급한 인력난을 해결할 수 없고, 대학마다 중복투자가 이뤄진다”는 이유에서다.대신 그는 “대전환 시기엔 졸업을 앞둔 학생들에게 6~9개월 과정의 ‘+α’ 교육을 산업계가 제공하며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정책은 한쪽으로 쏠리는 게 아니라 오케스트라처럼 유기적이고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