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신고 부실대응·지휘부는 늑장보고 '총체적 참사'(종합2보)
입력
수정
참사 발생 오후 10시15분, 행안장관 11시20분, 경찰청장 30일 0시14분
대통령, 오후 11시1분 가장 먼저 인지…지연보고로 경찰 대응 늦어져 '이태원 참사'는 시민의 112신고에 경찰이 안이하게 대처한 데다 관계 부처 지휘부 보고 체계가 붕괴한 '총체적 참사'였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생사를 다투는 급박한 시민의 신고는 사실상 무시됐고, 신속한 결정으로 현장을 지휘해야 하는 정부의 지휘부 보고는 늦고 체계도 뒤죽박죽이었다.
◇참사 4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 신고…경찰 소홀히 대응
2일 행정안전부, 경찰 등에 따르면 압사 참사 당일인 10월29일 오후 6시34분 "사람이 밀려와 압사당할 것같다"는 112 신고가 처음 접수된다.
이후 참사가 시작된 오후 10시15분까지 급박한 위험을 알리는 112신고가 모두 11건 접수되는데 이 가운데 8건이 최단시간 경찰력이 출동해야 하는 '코드0'과 '코드1' 단계로 분류된다. 11건의 신고 가운데 경찰관이 실제로 출동한 것은 4건뿐이다.
출동했던 경찰관도 적극적으로 인원 해산에 개입하지 않고 신고자를 확인하고 주의를 시키는 수준에 그쳤다.
11번째 신고 역시 "압사될 것 같다"는 위급한 내용이었지만 경찰은 신고자와 통화한 결과 '도움이 필요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전화 상담으로 종결했다. 이 신고가 접수되고 4분 뒤 압사가 발생했다.
경찰은 11건의 신고 가운데 2건(오후 8시37분, 9시1분)을 소방당국인 서울종합방재센터에 대응을 요청했다.
서울종합방재센터는 "대응요청이 들어오면 신고자에게 전화해 출동 필요성을 확인한다"며 "2건 모두 신고자가 구급차가 필요없다고 해 출동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119신고는 오후 10시15분 "10명이 깔려있다"는 첫 신고가 접수됐다.
이 시각이 압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으로 파악된다.
소방당국은 오후 10시43분 '대응 1단계'를, 11시13분과 11시50분에 각각 '2단계', '3단계'로 대응 수준을 높였다. ◇행정안전부·경찰 지휘부, 참사 1, 2시간 뒤에서야 첫 보고받아
참사가 벌어지는 사이 현장에서 경찰 지휘부로 향하는 보고는 이해할 수 없을 만큼 지연됐다.
용산경찰서장은 참사 2분 뒤인 오후 10시17분에 이태원 참사 현장에 도착하지만,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엔 발생 1시간19분 뒤인 11시34분 처음 보고했다.
당시 집에 있던 김 청장은 이 전화를 받지 못해 2분 뒤 용산서장에게 전화해 참사 발생 사실을 인지했다.
참사 발생 1시간21분 만이다.
사고 수습의 최일선에 있어야 할 윤희근 경찰청장은 김 청장이 보고를 받은 뒤 48분이 지난 30일 오전 0시14분에야 경찰청 상황1담당관에게 발생 사실을 최초 보고받았다.
참사가 발생한 지 거의 2시간이 지난 뒤다.
이 시각은 이태원에서 수십명이 심정지 상태라는 언론보도가 나오던 시점이다.
경찰을 관할하는 행안부 이상민 장관은 발생 1시간5분 뒤인 오후 11시 20분에서야 경찰 직보가 아닌 행안부 내부 알림 문자를 통해 사고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2일 "장관은 오후 11시 19분 발송된 긴급문자를 장관비서실의 직원을 통해 11시 20분 처음 받고 사고 발생을 인지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행안부 장관이나 경찰 보고선이 아닌 소방청 상황실에서 첫 보고를 직접 받았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10월29일 밤 10시 15분에 사고가 발생했고, 38분 뒤인 밤 10시53분 소방청 상황실에서 대통령실 국정상황실로 사고 내용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이어 "사고 상황을 확인한 국정상황실장은 밤 11시 1분 윤석열 대통령께 사고 발생 사실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종합하면 이 장관은 상관인 윤 대통령보다 19분이나 늦게 참사 발생 사실을 인지하는 얘기가 된다.
경찰청장 역시 상관인 이 장관보다 54분 뒤에서야 사고를 처음 알았다.
서울경찰청장도 상관인 경찰청장보단 빨랐지만 이 장관보다는 16분 늦었다.
참사 발생을 처음 알게 된 시점 순으로 보면 윤 대통령(오후 11시1분)이 가장 일렀고 행안부 장관(11시20분), 서울청장(11시36분), 경찰청장(익일 0시14분) 순이 된다.
통상적 상하 지휘계통과 크게 다르다.
경찰청장과 서울청장의 첫 보고 시점은 유럽 출장중이던 오세훈 서울시장(11시20분)보다도 늦었다. ◇늦은 보고 뒤 늑장 현장 대응이 인명피해 키워
붕괴한 보고 체계는 결국 경찰의 늑장 대응으로 이어졌다.
경찰은 참사 45분 뒤인 29일 오후 11시 이태원로를 통제해 구급차 진입로를 확보했다.
늦은 보고를 받은 서울경찰청장은 30일 오전 0시 25분에야 현장 지휘를 시작했다.
그제야 현장에 경찰지휘본부가 설치됐고, 사고현장 통제와 인근 교통관리 등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미 수십명이 심정지 상태라는 소방당국의 집계가 나온 시점이었다.
서울 중부경찰서와 종로경찰서, 남대문경찰서 등 인접 경찰서 등 11개 경찰서 1천371명의 지원도 30일 오전 0시 58분에 이뤄졌다.
또 부상자를 치료할 병원 이동로를 예상해 교통관리에 돌입한 것도 30일 오전 1시 11분이 돼서야 가능했다.
윤 경찰청장이 참사 발생 4시간 15분 만인 30일 오전 2시 30분에야 경찰청 지휘부 회의를 주재했던 것도 구멍 난 보고체계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가 회의를 주재하던 시각, 압사 희생자는 100명을 넘고 있었다.
/연합뉴스
대통령, 오후 11시1분 가장 먼저 인지…지연보고로 경찰 대응 늦어져 '이태원 참사'는 시민의 112신고에 경찰이 안이하게 대처한 데다 관계 부처 지휘부 보고 체계가 붕괴한 '총체적 참사'였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생사를 다투는 급박한 시민의 신고는 사실상 무시됐고, 신속한 결정으로 현장을 지휘해야 하는 정부의 지휘부 보고는 늦고 체계도 뒤죽박죽이었다.
◇참사 4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 신고…경찰 소홀히 대응
2일 행정안전부, 경찰 등에 따르면 압사 참사 당일인 10월29일 오후 6시34분 "사람이 밀려와 압사당할 것같다"는 112 신고가 처음 접수된다.
이후 참사가 시작된 오후 10시15분까지 급박한 위험을 알리는 112신고가 모두 11건 접수되는데 이 가운데 8건이 최단시간 경찰력이 출동해야 하는 '코드0'과 '코드1' 단계로 분류된다. 11건의 신고 가운데 경찰관이 실제로 출동한 것은 4건뿐이다.
출동했던 경찰관도 적극적으로 인원 해산에 개입하지 않고 신고자를 확인하고 주의를 시키는 수준에 그쳤다.
11번째 신고 역시 "압사될 것 같다"는 위급한 내용이었지만 경찰은 신고자와 통화한 결과 '도움이 필요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전화 상담으로 종결했다. 이 신고가 접수되고 4분 뒤 압사가 발생했다.
경찰은 11건의 신고 가운데 2건(오후 8시37분, 9시1분)을 소방당국인 서울종합방재센터에 대응을 요청했다.
서울종합방재센터는 "대응요청이 들어오면 신고자에게 전화해 출동 필요성을 확인한다"며 "2건 모두 신고자가 구급차가 필요없다고 해 출동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119신고는 오후 10시15분 "10명이 깔려있다"는 첫 신고가 접수됐다.
이 시각이 압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으로 파악된다.
소방당국은 오후 10시43분 '대응 1단계'를, 11시13분과 11시50분에 각각 '2단계', '3단계'로 대응 수준을 높였다. ◇행정안전부·경찰 지휘부, 참사 1, 2시간 뒤에서야 첫 보고받아
참사가 벌어지는 사이 현장에서 경찰 지휘부로 향하는 보고는 이해할 수 없을 만큼 지연됐다.
용산경찰서장은 참사 2분 뒤인 오후 10시17분에 이태원 참사 현장에 도착하지만,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엔 발생 1시간19분 뒤인 11시34분 처음 보고했다.
당시 집에 있던 김 청장은 이 전화를 받지 못해 2분 뒤 용산서장에게 전화해 참사 발생 사실을 인지했다.
참사 발생 1시간21분 만이다.
사고 수습의 최일선에 있어야 할 윤희근 경찰청장은 김 청장이 보고를 받은 뒤 48분이 지난 30일 오전 0시14분에야 경찰청 상황1담당관에게 발생 사실을 최초 보고받았다.
참사가 발생한 지 거의 2시간이 지난 뒤다.
이 시각은 이태원에서 수십명이 심정지 상태라는 언론보도가 나오던 시점이다.
경찰을 관할하는 행안부 이상민 장관은 발생 1시간5분 뒤인 오후 11시 20분에서야 경찰 직보가 아닌 행안부 내부 알림 문자를 통해 사고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2일 "장관은 오후 11시 19분 발송된 긴급문자를 장관비서실의 직원을 통해 11시 20분 처음 받고 사고 발생을 인지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행안부 장관이나 경찰 보고선이 아닌 소방청 상황실에서 첫 보고를 직접 받았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10월29일 밤 10시 15분에 사고가 발생했고, 38분 뒤인 밤 10시53분 소방청 상황실에서 대통령실 국정상황실로 사고 내용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이어 "사고 상황을 확인한 국정상황실장은 밤 11시 1분 윤석열 대통령께 사고 발생 사실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종합하면 이 장관은 상관인 윤 대통령보다 19분이나 늦게 참사 발생 사실을 인지하는 얘기가 된다.
경찰청장 역시 상관인 이 장관보다 54분 뒤에서야 사고를 처음 알았다.
서울경찰청장도 상관인 경찰청장보단 빨랐지만 이 장관보다는 16분 늦었다.
참사 발생을 처음 알게 된 시점 순으로 보면 윤 대통령(오후 11시1분)이 가장 일렀고 행안부 장관(11시20분), 서울청장(11시36분), 경찰청장(익일 0시14분) 순이 된다.
통상적 상하 지휘계통과 크게 다르다.
경찰청장과 서울청장의 첫 보고 시점은 유럽 출장중이던 오세훈 서울시장(11시20분)보다도 늦었다. ◇늦은 보고 뒤 늑장 현장 대응이 인명피해 키워
붕괴한 보고 체계는 결국 경찰의 늑장 대응으로 이어졌다.
경찰은 참사 45분 뒤인 29일 오후 11시 이태원로를 통제해 구급차 진입로를 확보했다.
늦은 보고를 받은 서울경찰청장은 30일 오전 0시 25분에야 현장 지휘를 시작했다.
그제야 현장에 경찰지휘본부가 설치됐고, 사고현장 통제와 인근 교통관리 등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미 수십명이 심정지 상태라는 소방당국의 집계가 나온 시점이었다.
서울 중부경찰서와 종로경찰서, 남대문경찰서 등 인접 경찰서 등 11개 경찰서 1천371명의 지원도 30일 오전 0시 58분에 이뤄졌다.
또 부상자를 치료할 병원 이동로를 예상해 교통관리에 돌입한 것도 30일 오전 1시 11분이 돼서야 가능했다.
윤 경찰청장이 참사 발생 4시간 15분 만인 30일 오전 2시 30분에야 경찰청 지휘부 회의를 주재했던 것도 구멍 난 보고체계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가 회의를 주재하던 시각, 압사 희생자는 100명을 넘고 있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