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소리 코딩 스쿨] 새로운 데이터 딕셔너리 ❷
입력
수정


딕셔너리가 무엇인지 살펴봤으니 이제 딕셔너리를 사용해 봅시다. IDLE File을 준비하고 아래 코 드를 실행해 보세요.
코드
d = { ‘dictionary’:‘사전’, ‘data’:‘자료’ } print(d)
실행 결과
{‘dictionary’: ‘사전’, ‘data’: ‘자료’}
리스트의 인덱싱, 리스트[인덱스]를 기억하나요?(주니어 생 글생글 9호 참조) 인덱싱은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인 인덱스 를 이용해 리스트 안의 데이터를 찾아 불러오는 기능이었습 니다. 리스트에서 인덱스를 쓰는 것처럼, 딕셔너리에서는 키 를 이용해 값을 찾아 불러올 수 있습니다.딕셔너리 [키]
리스트의 인덱싱, 리스트[인덱스]를 기억하나요?(주니어 생 글생글 9호 참조) 인덱싱은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인 인덱스 를 이용해 리스트 안의 데이터를 찾아 불러오는 기능이었습 니다. 리스트에서 인덱스를 쓰는 것처럼, 딕셔너리에서는 키 를 이용해 값을 찾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리스트의 인덱스는 눈에 보이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딕셔너리는 확인하기 쉬운 키를 이용해 값을 찾아 불러올 수 있어 편리합니다. 딕셔너리 d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려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실행하면 됩니다.
코드
d = { ‘dictionary’:‘사전’, ‘data’:‘자료’ } print(d[‘dictionary’] )
print(d[‘data’])
코드설명
d[‘dictionary’]
‘dictionary’ 키를 이용하면 ‘사전’이라는 값이 출력됩니다.
d[‘data’]
‘data’ 키를 이용하면 ‘자료’라는 값이 출력됩니다.
실행 결과
사전 자료문자뿐만 아니라 숫자도 딕셔너리의 키나 값으로 쓸 수 있답니다.
코드
c = {1 : ‘one’, 2: ‘two’, 3: ‘three’}
실행결과
one print(c[1])
two print(c[2])
three print(c[3])
여러분도 다양한 데이터를 딕셔너리에 넣어서 출력해 보세요. 다음 시간에는 딕셔너리의 사용법 을 조금 더 알아보고, 암호 해독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시다.
과학기술을 활용한 예술 미디어아트
조선 후기 화가 김홍도가 그린 ‘행려풍속도 8곡병’ 은 당시 생활상을 생동감 넘치게 묘사하고 있다. 아 쉽게도 프랑스 파리 기메박물관에 소장돼 있어 직 접 감상하기는 어렵다. 대신 이 작품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아트 전시가 국내에서 종종 열린다.미디어 아트란 사진, 영상, 터치스크린, 레이저 등 여러가지미디어기술을활용한예술작품을말한 다.미디어아트기법을활용하면2차원평면의그 림도 살아 움직이는 3차원 입체로 재탄생한다. ‘행 려풍속도 8곡병’의 미디어 아트는 마치 1700년대 한 양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미디어아트의배경에는과학기술이있다.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예술의 표현 기법 또한 다양해진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기술이다. AR, VR 기술은 관객이 작품에 참여하 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가능하게 한다. 인터랙티브 (interactive)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의미다.
관람객이 발을 내딛는 곳마다 꽃이 피어나고,폭포에손을대면물줄기방향이바 뀌는것과같은이미지를AR과VR기술 을통해만들어낼수있다.화면에서고래가튀어나 오는 것처럼 현실과 가상세계가 뒤섞인 이미지를 구 현하는 데도 AR과 VR 기술이 활용된다.
인터랙티브 아트 외에 프로젝션 매핑, 미디어 파 사드등다양한미디어아트가있다.프로젝션매 핑이란어떤물체에빛을발사해다른물체처럼보 이게 하는 기술이다.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 외부에 LED전구를빽빽하게붙이고빛을내는등의방식 으로 영상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과학 기술이 발달 할수록 예술과 과학이 결합된 미디어 아트도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