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저녁엔 꼭 하늘을"…200년에 한 번 보는 놀라운 광경
입력
수정
개기월식·천왕성 엄폐 발생
저녁 7시 16분부터 약 1시간 가량 진행

8일 국립과천과학관은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특별관측회를 이날 저녁 7시부터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개최한다고 밝혔다.개기월식은 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이다. 지난해 5월 26일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다. 달이 천왕성을 가리는 천왕성 엄폐의 경우 2015년 1월 25일 이후 약 7년 반 만에 일어난다.
다만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진 달이 다시 천왕성을 가리는 개기월식·천왕성 엄폐는 드문 장면이다.
가장 최근 있었던 월식과 천왕성 엄폐 동시 발생은 2014년 10월 8일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볼 수 없었다. 앞으로 76년 후인 2098년 10월 10일 다시 한번 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동시에 발생하지만 역시 한국에서는 볼 수 없다. 이번 8일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 동시 발생은 저녁 시간에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측할 수 있다. 다음 개기월식은 3년 후인 2025년 9월 8일 관측할 수 있다. 천왕성 엄폐는 2068년 2월 27일에 관측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향후 200년 안에 두 천문현상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엄폐는 천문학에서 멀리 있는 천체가 가까이 있는 천체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이다. 천왕성 엄폐는 달이 천왕성을 가리는 것이다. 달에 의한 엄폐 현상은 행성 하나당 2년에 한 차례 정도 일어난다. 그러나 관측 가능한 지역이 넓지 않고 낮에도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특정 지역에서 관측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이번 개기월식은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다. 월출 직후에 시작되기 때문에 동쪽이 트인 곳을 찾아야 한다. 천왕성은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 천체망원경을 사용해야 한다. 달을 찾으면 인근에서 천왕성을 볼 수 있으며 엄폐 현상까지 관측가능하다.
김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