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훈 칼럼] 30년 투자로 열어젖힌 배터리 신세계
입력
수정
지면A30
中 CATL 시총, 韓 기업들로 이동돈은 똑똑하다. 가끔 과속하는 경우가 있어도 방향성만큼은 확실하게 보여준다. 요즘 극적으로 주가 등락이 엇갈린 업종은 전기자동차 배터리산업. 지난 8월 12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미국 의회를 통과한 이후 세계 1위인 중국 CATL 시가총액은 247조원에서 190조원으로 추락했다.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은 108조원에서 138조원, 삼성SDI는 44조원에서 50조원으로 뛰어올랐다. 중국이 막대한 보조금으로 키운 CATL 기업가치가 한국 기업들로 급속히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배터리 3사 수주 벌써 700조원
美IRA법·높은 진입장벽도 호재
벤처처럼 움직이는 한국 재벌들
1990년대 미래 성장 씨앗 뿌려
한국 최대 경쟁력은 기업가정신
조일훈 논설실장
한국 배터리산업의 약진은 우리에게 몇 가지 고무적인 신호를 준다. 첫째 지난 20여 년간 한국 산업계를 위협해온 ‘샌드위치 위기론’이 폐기됐다는 점이다. 주력 산업이 자본과 기술력의 일본, 거대시장과 노동력의 중국 사이에 끼여 오도 가도 못 하게 됐다는 체념적 운명론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일본 선도기업들의 부진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1980년대 경박단소로 세계 시장을 호령한 일본 전자·자동차 회사들은 2000년대 디지털 전환기에 제대로 올라타지 못했다. 만회가 어려워지자 엔저와 제로금리라는 정부 보호막 안으로 숨어 버렸다. 중국은 전략산업인 반도체 통신 등이 미국의 강력한 태클에 봉착했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감탄고토(甘呑苦吐)식 기업 정책과 홍콩 찬탈로 대표되는 공산당 체제의 폭주가 자초한 재앙이다.우리 기업들의 분전은 놀랍기만 하다. 정말 어느 틈에 이렇게 담대한 준비를 해온 것인지, 한국은 어느새 배터리 최강국의 위상을 구축했다. 배타적 중국 시장을 제쳐놓으면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배터리 3사의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55%가 넘는다. 3개사의 수주잔액은 지난해 전체 수출액에 해당하는 700조원 상당에 이른다. 몇 가지 위험과 도전이 있겠지만 규모의 경제효과를 누리기엔 충분하다.
두 번째 신호는 우리 산업에 새로운 지평이 열리고 있다는 것이다. 2025년 배터리 시장이 메모리반도체를 추월할 것이라는 전문기관의 분석은 약과다. 지구촌 거리에 전기차가 구를 때마다 한국에 돈이 떨어지는 구조다.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으로 이어지는 전후방 생태계는 반도체산업을 능가할 태세다. 오랜 세월에 걸친 연구개발(R&D)과 연간 수십조원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 산업 특성상 진입장벽도 견고하다. 전기차 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배터리값이 아까워 자체 배터리 생산을 공언하는 완성차 업체들이 있긴 하다. 미련한 짓이다. 어떤 글로벌 기업도 그만한 자금력과 기술력을 독자적으로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고도의 R&D를 요구하는 안전 분야 기술은 결정적 장벽이다.
세 번째는 한국 특유의 기업가정신이 빛을 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LG 배터리 도약은 1999년 반도체 빅딜로 청주공장(현 SK하이닉스)을 빼앗긴 고(故) 구본무 회장의 와신상담에서 비롯됐다. 2005년 배터리 사업에서 2000억원의 적자가 났는데도 조금도 흔들림 없이 밀어붙였다. 1992년 영국에서 갖고 들어온 2차전지 샘플이 오늘날 무려 370조원이 넘는 매출 예약으로 이어지는 기적을 연출한 것이다.배터리는 통상 정보기술(IT)기기를 만드는 업체들이 전지부품을 내재화하는 과정에서 시작한다. 삼성도, 소니도, 파나소닉도 그랬다. SK는 특이하게도 정유회사가 시작했다. 고 최종현 회장은 1980년대 유공(현 SK이노베이션) 시절 “언젠가 기름을 팔지 못하는 시대가 오면 축전지라도 팔아야 한다”며 사업 목적에 배터리를 명기했다. 이 작은 출발이 미국 주요 도시에 연산 전기차 150만 대 분량의 배터리 공장 건설로 이어지고 있다. 1999년 일본 출장길에 팩스 한 장으로 “전지를 신수종사업으로 육성하라”는 지시를 내린 고 이건희 회장의 일화도 기억해야 할 장면이다.
일본 경영학자들은 바로 이런 대목이 양국 산업의 명암을 갈랐다고 한다. “한국 재벌기업들은 일본 대기업보다 덩치가 훨씬 큰데도 벤처처럼 움직인다”는 탄식이다. 1991년 리튬이온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소니는 자사 전자제품 부품으로만 활용하다가 해당 사업을 매각해버렸다. 과거 노트북에 들어가는 셀은 4~6개, 요즘 신형 전기차에 들어가는 파우치형 셀은 300개 정도다. 소니가 셀의 확장과 전기차 시대 개막을 연결했더라면 세계 배터리산업 판도는 지금과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경영자의 선견력과 인내, 위험을 감수하는 도전만큼 강력한 성장엔진은 없다. 사방에서 어렵다는 아우성이 들리는 요즘 한국 경제에 신세계가 열리고 있다는 점을 독자 여러분과 기쁘게 공유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