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간 규제 풀리지 않겠어?"…서울 집주인들 매물 거둔다
입력
수정
해제 기대감에 서울 아파트 매물 '감소'
금리 인상 속도 조절 전망도 영향 미쳐

17일 부동산 정보제공 앱(응용 프로그램)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지난 14일 기준 5만5103건으로 집계됐다. 규제지역 추가 해제를 발표한 지난 10일 5만7370건보다 2267건(3.95%) 줄어든 것이다.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매물이 줄었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도봉구가 1998건에서 1869건으로 129건(6.45%) 줄어 감소율이 가장 컸다. 이어 △노원구(4363건→4129건)가 5.36% 감소 △중랑구(1881건→1785건) 5.1% 감소 △중구(742건→706건) 4.81% 감소 △용산구(1202건→1145건) 4.85% 감소 등이었다.
정부는 지난 10일 올해 3번째 부동산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서울과 과천, 성남(분당·수정), 하남, 광명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했다. 경기도에서 수원, 안양, 안산단원, 구리, 군포, 의왕, 용인수지·기흥, 동탄2 등 9곳이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됐고 조정대상지역에선 경기도 22곳과 인천 전 지역(8곳), 세종 등 31곳이 해제됐다.

지난달 0.5%포인트를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때 근거로 작용했던 물가와 환율이 안정되는 모습을 보여서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대로 여전히 높긴 하지만 지난 7월 6.3% 정점을 기록하고 하락세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많다.
한편 이번 규제 해제로 거래량이 늘어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급매물 압박은 줄어들었지만 실수요자 입장에선 대출 규제, 이자 부담 등으로 집을 사기 어려운 환경임은 여전해서다.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