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경성 백화점들 활황…외제 사는 조선인 수두룩
입력
수정
지면S3
(69) 일제강점기의 '된장녀'1920년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 대중 잡지인 ‘별건곤’은 1929년 1월호에 다음과 같은 기사를 게재했다.
“경성우편국을 끼고 돌아서면 요지경 같은 진고개다. 하라다 상점에 들어서니 어찌나 사람이 많은지. 그래도 놀라지 말라. 반수 이상이 조선남녀다. ( … ) 미스코시에 들어가니 아래층은 음식과 과자를 팔고, 이 층으로 가니 거기는 일본 옷감뿐이더라. 삼 층에 가니까 장난감, 학용품, 아동복, 치마감이 있다. 길거리에 나서니 진고개 2정목, 3정목 입을 벌리고 정신 다 빠져서 헤엄치듯 걸어나는 조선 부인들….”1920~1930년대 당시 경성의 번화가인 혼마치(서울 명동 근처)에선 거리를 구경 다니는 혼부라(혼마치와 어슬렁거리다의 합성어)가 득시글거렸다. 백화점 구경을 즐기는 주 고객인 여성과 학생에 대한 당대 언론인들의 시각은 그리 따뜻하지 않았다.
‘별건곤’은 “조지야 하라다 상점 같은 큰 상점에는 언제나 조선 여학생, 신식 부인들로 꼭꼭 차서 불경기의 바람이 어디서 부느냐 하는 듯한 성황”이라며 “그곳들이 특별히 값이 싸서 그런 게 아니라면 무엇에 끌려서 그러는지 알 수 없다”고 한탄했다. “미스코시, 오복점(기모노점)이 또 낙성되었으니 제일 기뻐할 이는 조선 여학생일 것 같다”며 “어쨌든지 훌륭한 상점에서 물건을 사야만 자기 코가 높아지는 듯한 선입견을 가진 것이 신식 여자인가보다”라는 비꼼과 함께.
당시 ‘모던 걸’(물론 ‘모던 보이’도)은 사회에서 매우 이질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1920년대 이후 조선인들이 혼마치 상가의 구매자로 등장하면서 이들에 대한 당대인의 묘사와 평가도 늘어난다.이들 신흥 소비 세력에 대한 일제강점기 언론인의 평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었다. 모던 걸은 ‘못된 걸’로, 모던 보이는 ‘못된 보이’로 비판적으로 불리기도 했다. 동아일보 1922년 11월 22일자 기사에선 “요사이 우리 사람들은 외국 물건이라 하면 입 다물고 다투어서 쓰는 경향이 있다”며 “같은 외국 물건이라도 기어이 본정 등지에 가서 사오는 형편이 많다”고 비판했다. 당시 본정 2정목에 있는 어떤 일본인 잡화점에서 대략 매일 1000여 원가량의 물건을 파는데 그중 6할가량이 조선 사람이 사가는 것이고, 미스코시 오복점 경성지점 고객 절반 이상이 조선 사람이라는 부연 설명도 곁들여졌다.
일제강점 아래 식민지 조선의 경제 사정에 대한 시각과 평가는 연구자에 따라 판이하지만 당시 경성에 백화점 등 쇼핑 시설이 경제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밀집됐던 점만은 분명한 사실인 듯하다.
1929년 미스코시 백화점이 들어선 이후 혼마치 일대에는 미나카이 백화점, 히라다 백화점이 잇따라 증축·신축됐고, 남대문로에는 조지야 백화점이 들어서 남대문로~본정 1정목엔 경성을 대표하는 백화점 거리가 조성됐다.당시 인구 560만 명인 도쿄의 경우 백화점 점포가 27개였고, 인구 270만 명의 오사카에 9개 점포가 있었던 반면 인구가 40만 명 정도에 불과했던 경성에는 5개의 백화점이 비약적인 상권 신장을 기록하면서 ‘백화점 전성시대’를 누렸다. 이는 인구 100만 명의 교토(7개 백화점 점포)에 필적할 뿐 아니라 경성보다 인구가 배나 많았던 나고야(4개), 고베 (3개), 요코하마(3개)보다도 많은 백화점이 성업했던 셈이다.
백화점의 기원은 1852년 프랑스 파리에서 문을 연 봉마르셰였다. 창업주인 아리스티드 부시코는 당시 상업계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개념의 판매 방식을 만들어냈다. 내외관이 극도로 화려한 큰 건물에서 정찰제로 상품을 팔면서 파리 최대의 사교 살롱 이미지를 갖췄고, 봉마르셰는 베르사유에 버금가는 ‘소비의 궁전’으로 불렸다. 대량으로 물품을 들여와 판매하니 일반 소매점보다 가격이 15~20% 저렴했다. 정찰제로 운영됐고 반품도 자유로웠다.
1890년대 덴마크와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에서 백화점이 등장했고 20세기 초가 되면서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호주, 남아프리카, 터키 등 세계 각지에 백화점이 생겨났다. 식민지 조선도 이 대열에 ‘뒤늦지 않게’ 합류한 셈이다.
NIE포인트
1. 경제 규모에 비해 경성에 백화점이 많은 이유는 뭘까.2. 당시 언론은 왜 소비자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봤을까.
3. 백화점의 기원과 백화점이 소비자들로부터 사랑받게 된 이유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