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흔적 지우기 나선 정부…기재부 업무서 '소주성' 삭제한다
입력
수정
정부가 문재인 정부의 브랜드 정책인 '소득주도성장(소주성)'과 '사회적 경제'등을 기획재정부의 공식 업무 분장에서 삭제한다. 대신 '민간 중심 성장', '포용적 성장', '지속가능경제발전'등을 넣고 이에 맞춘 조직 개편도 단행할 계획이다. 정부 출범 첫 해가 막바지에 다다르면서 문재인 정부 흔적 지우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6일 기재부의 국단위 조직 개편안을 담은 '기획재정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새 정부 들어 첫 기재부 조직 개편안으로, 새로운 국정 방향과 과제에 맞춰 조직 및 업무를 조정했다.개편안은 장기전략국에 인구정책 기능을 더해 미래전략국으로 개편하고, 재정혁신국을 재정정책국으로 개편해 중장기 재정전략인 재정비전2050 및 재정준칙 수립과 사회연금·보험 재정 추계 지원 역할을 부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조직 개편을 통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충격 완화, 건전 재정으로의 기조 전환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두 국의 이름과 기능을 조정한 것보다도 눈에 띄는 것은 기재부 전반의 업무 분장에서 전 정부 정책의 색채를 빼고 나선 점이다.
먼저 문재인 정부가 소득주도 성장, 일자리 성장 등 핵심 경제 정책 기조를 지원하고자 2017년 만든 경제구조개혁국 업무에 명시돼있던 '소득 주도 및 포용적 성장 관련 정책의 기획 및 협의·조정'에서 '소득 주도'가 삭제되고 '포용적 성장'만이 남았다.'일자리를 통한 분배 및 성장 관련 경제정책의 조정'이란 규정이 삭제되고 '일자리 관련 경제정책의 기획 및 추진상황에 대한 점검·협의·조정'만이 남았다. 그 외엔 교육, 노동시장 및 의료복지 관련 정책의 협의·조정 기능이 새롭게 추가됐다. 윤석열 정부의 3대 구조개혁 과제인 연금·교육·노동개혁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는 취지에서다.
국가 경제정책 수립의 '두뇌' 역할을 하는 경제정책국의 업무엔 '기업 등 민간 중심 경제 성장 관련 정책의 조사·분석'이 추가됐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이 '민간중심성장'으로 교체되는 양상이다.
장기전략국의 업무에 포함돼있던 '사회적 경제 생태계 조성'도 '지속가능경제발전 전략의 수립'으로 바뀌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관련 정책의 총괄·조정'등이 신설됐다.
기재부는 입법예고를 마무리한 뒤 오는 24일 국무회의를 거쳐 12월 초 최종 조직 개편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 경제구조개혁국 산하 일자리경제정책과, 일자리경제지원과 등 두 개로 나눠져 있는 일자리 관련과가 하나로 통합되고 장기전략국 내에 있는 사회적경제과 등도 개편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행정안전부는 지난 16일 기재부의 국단위 조직 개편안을 담은 '기획재정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새 정부 들어 첫 기재부 조직 개편안으로, 새로운 국정 방향과 과제에 맞춰 조직 및 업무를 조정했다.개편안은 장기전략국에 인구정책 기능을 더해 미래전략국으로 개편하고, 재정혁신국을 재정정책국으로 개편해 중장기 재정전략인 재정비전2050 및 재정준칙 수립과 사회연금·보험 재정 추계 지원 역할을 부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조직 개편을 통해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충격 완화, 건전 재정으로의 기조 전환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두 국의 이름과 기능을 조정한 것보다도 눈에 띄는 것은 기재부 전반의 업무 분장에서 전 정부 정책의 색채를 빼고 나선 점이다.
먼저 문재인 정부가 소득주도 성장, 일자리 성장 등 핵심 경제 정책 기조를 지원하고자 2017년 만든 경제구조개혁국 업무에 명시돼있던 '소득 주도 및 포용적 성장 관련 정책의 기획 및 협의·조정'에서 '소득 주도'가 삭제되고 '포용적 성장'만이 남았다.'일자리를 통한 분배 및 성장 관련 경제정책의 조정'이란 규정이 삭제되고 '일자리 관련 경제정책의 기획 및 추진상황에 대한 점검·협의·조정'만이 남았다. 그 외엔 교육, 노동시장 및 의료복지 관련 정책의 협의·조정 기능이 새롭게 추가됐다. 윤석열 정부의 3대 구조개혁 과제인 연금·교육·노동개혁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는 취지에서다.
국가 경제정책 수립의 '두뇌' 역할을 하는 경제정책국의 업무엔 '기업 등 민간 중심 경제 성장 관련 정책의 조사·분석'이 추가됐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이 '민간중심성장'으로 교체되는 양상이다.
장기전략국의 업무에 포함돼있던 '사회적 경제 생태계 조성'도 '지속가능경제발전 전략의 수립'으로 바뀌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관련 정책의 총괄·조정'등이 신설됐다.
기재부는 입법예고를 마무리한 뒤 오는 24일 국무회의를 거쳐 12월 초 최종 조직 개편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 경제구조개혁국 산하 일자리경제정책과, 일자리경제지원과 등 두 개로 나눠져 있는 일자리 관련과가 하나로 통합되고 장기전략국 내에 있는 사회적경제과 등도 개편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