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입석버스 금지…최소 연말까진 불편 겪을 듯

시행 첫 날…출근 대란은 가까스로 피했지만
수원, 성남, 의정부선 승객들이 '만차'로 불편
예고된 입석 금지 대응 늦었단 비판도
사진=뉴스1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모든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가 사실상 중단됐다. 도내 직장인들이 서울행 버스를 놓치는 등 불편이 벌어지고 있다. 적어도 연말까지 혼란이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KD운송그룹 산하 14개 버스회사가 이날부터 고속도로를 통과하는 광역버스 99개 노선의 입석 승차를 전면 거부했다. KD운송은 도내 광역버스의 절반 가량인 146개 노선, 1123대를 운영한다. 지난 7월 경진여객, 용남고속 등이 입석 승차를 중단한 가운데 이날부터 점유율 1위인 KD운송도 입석 승차에 동참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서울로 가는 거의 모든 광역버스에서 입석이 중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KD운송 광역버스의 입석률(2%)을 감안하면 3000여명의 승객이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KD관계자는 “코로나19 완화로 승객이 늘고, 이태원 참사로 안전 의식이 높아지면서 입석 금지 조치를 더이상 미룰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수원시와 용인시 등 서울로 출근하는 직장인이 많은 곳에선 이날 아침 승객들이 ‘만원 버스’를 그냥 보내는 풍경이 이어졌다. 의왕시, 의정부시의 고속도로 진입 전 정류장에서도 같은 현상이 벌어졌다. 다만 입석 중단 사실이 이번주 초부터 알려지면서 시민들이 이날 자가용과 지하철 등 대체 수단을 이용했고, 예상됐던 만큼의 큰 혼란은 피했다는 분석이다.

광역버스 입석금지는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처음 추진됐다. 2018년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전좌석 안전띠가 의무화하면서 고속도로 입석 운행 자체가 불법이 됐지만, 출퇴근 시 불편을 제기하는 민원이 이어졌다. 이에 정부는 ‘단속은 하지 않는 방법’으로 입석 운행을 사실상 묵인했다. 그러다 이후 입석 승객이 탄 버스의 사고가 발생하고, 요금 논란 등이 제기돼자 버스회사들이 속속 입석 승차 중단을 택하기 시작했다. 버스회사들이 언제든 입석 중단을 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국토교통부 및 경기도의 대책이 늦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상황 수습엔 최소 한달이 걸릴 전망이다. 국토부 산하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경기도, 서울시는 지난 9월 수원 광교~서울역 등 혼잡 노선을 중심으로 전기버스와 전세버스를 투입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전기차 버스 출고와 기사수급 등의 문제가 이어지면서 현재 연말까지 예고한 수급계획의 절반 가량만 이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