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세탁 방지, 금융사만의 일 아니다"
입력
수정
김앤장 자금세탁방지팀 인터뷰
비트코인 활용 등 새 세탁 수법에
기업들 휘말릴 가능성 갈수록 커져
"국내서도 범죄예방 관련 법 제정될수도"

정영기 김앤장법률사무소 자금세탁방지팀장(왼쪽·사법연수원 35기)은 2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제는 일반 기업들까지 자금세탁 범죄에 휘말리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올해 개최한 세 차례의 총회에서도 금융회사 이외에 특정비금융전문사업자가 취득, 보관한 자금 역시 건전한 경영활동의 결과물인지 확인하는 준법감시를 강조했다”며 “국내에서 이 같은 내용을 법으로 제정해야 하는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같은 팀의 고철수 전문위원도 “FATF는 이미 핀테크라는 용어가 등장한 2014년부터 핀테크를 악용한 자금세탁을 막기 위한 방법론을 고민했고, 가상자산 역시 마찬가지였다”며 “기업에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각종 의무를 요구하는 규제는 전 세계에 걸쳐 강화되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금융정보분석원 출신인 고 위원은 FATF의 국가 상호평가자 등으로 활동한 이 분야 전문가다.
김앤장은 2012년 자금세탁방지팀을 꾸린 후 10년간 몸집을 거듭 불리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금융감독원 출신인 신상훈·김승민 전문위원, 금융·플랫폼 기업에서 근무한 조세경·임이레 변호사 등 전문가들을 영입하며 전문성 강화에 힘쓰고 있다. 팀 인원은 30여명으로 국내 로펌업계에서 가장 많다. 현재 100개 이상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정 팀장은 “시중은행, 전자금융업체, 증권사, 금융당국 등에서 자금세탁방지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로 조직을 꾸려 기업들에 종합적인 컨설팅 수준의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이제는 내부통제 강화 이상으로 정밀한 검증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팀장은 “예컨대 어떤 유형의 고객과 상품이 자금세탁에 악용될 소지가 큰지, 비대면으로 판매할 때 자금세탁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은지 등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의심스러운 거래를 발견했을 때 내부 보고는 어떤 체계로 진행해야 하는지 등을 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 위원은 “자금세탁은 100% 차단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위험을 저위험으로 낮추는 내부 시스템을 얼마나 잘 구축했느냐가 중요하다”며 “준법감시부서의 적극성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자(CEO)의 강한 의지가 위험 관리능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