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1년 숙원' 서비스산업발전법 재시동…혁신 없이 미래 없다
입력
수정
지면A27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어제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서발법) 제정에 재시동을 걸겠다고 발표했다. 서비스산업을 새 성장동력이자 수출 주력상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내년 초까지 혁신적인 ‘5개년 계획’을 내놓는다는 구상이다.
국회 정쟁에 밀려 2011년 발의 후 11년째 표류 중인 서발법을 의욕적으로 재추진한다니 반가움이 앞선다. 디지털 헬스케어 등의 보건·의료 분야를 서발법 지원 대상에 명시한 것도 다행스럽다. 법률광고·부동산중개 플랫폼 등 신·구 사업자 간 갈등을 조정하는 메커니즘과 기구 설치를 법제화하겠다는 시도도 기대를 키운다.경제가 고도화할수록 서비스산업으로의 이행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고용의 70%를 차지하는 서비스산업을 홀대해 왔다. 그 결과 서비스산업 1인당 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회원국 중 28위(2018년 기준)로 최하위권이다. 원격의료, 공유숙박, 승차공유 등 신산업을 지금처럼 방기하다간 영원히 꼴찌를 면하지 못할 상황이다.
서비스산업 혁신은 ‘0%대 추락’이 예고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반전시킬 가장 확실한 방안이다. 서비스산업 생산성을 주요국 수준으로만 끌어올려도 성장률이 1.0%포인트 높아질 것이란 분석(KDI)도 나와 있다. 서비스산업은 취업유발계수가 높아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해법이기도 하다. 어디서나 서비스 혁신이 일어나는 비대면 트렌드에 걸맞은 ‘서발법 2.0 버전’을 기대한다.
국회 정쟁에 밀려 2011년 발의 후 11년째 표류 중인 서발법을 의욕적으로 재추진한다니 반가움이 앞선다. 디지털 헬스케어 등의 보건·의료 분야를 서발법 지원 대상에 명시한 것도 다행스럽다. 법률광고·부동산중개 플랫폼 등 신·구 사업자 간 갈등을 조정하는 메커니즘과 기구 설치를 법제화하겠다는 시도도 기대를 키운다.경제가 고도화할수록 서비스산업으로의 이행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고용의 70%를 차지하는 서비스산업을 홀대해 왔다. 그 결과 서비스산업 1인당 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회원국 중 28위(2018년 기준)로 최하위권이다. 원격의료, 공유숙박, 승차공유 등 신산업을 지금처럼 방기하다간 영원히 꼴찌를 면하지 못할 상황이다.
서비스산업 혁신은 ‘0%대 추락’이 예고된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반전시킬 가장 확실한 방안이다. 서비스산업 생산성을 주요국 수준으로만 끌어올려도 성장률이 1.0%포인트 높아질 것이란 분석(KDI)도 나와 있다. 서비스산업은 취업유발계수가 높아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해법이기도 하다. 어디서나 서비스 혁신이 일어나는 비대면 트렌드에 걸맞은 ‘서발법 2.0 버전’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