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서 유행 '배터리 스와핑'이 뭐길래
입력
수정
지면A14
뉴스카페전기차 배터리를 집이나 주유소 등에서 충전하는 대신 통째로 교체하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에 배터리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상당하다는 점을 감안한 주장이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
주유소서 완충 배터리로 교체
"충전 시간·비용 확 줄어들어"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8일 ‘전기차 배터리 스와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전기차 배터리의 짧은 수명과 급속 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성 문제를 지적하며, 배터리를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듯이 교체하는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터리를 완충하려면 몇시간씩 걸리지만 사전에 충전이 끝난 배터리와 교체하는 것은 2분이면 충분하다는 게 보고서의 골자다.배터리를 교체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진 나라는 중국이다. 지난해 중국의 배터리 스와핑 시장 규모는 45억위안(약 8400억원)에 불과했지만, 2025년엔 1000억위안(약 18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배터리 교체 방식의 가장 큰 문제는 이해관계 조정이다. 강제로 제도를 도입하면 자동차업계 등의 반발을 살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이 문제를 ‘폭탄 보조금’으로 해결했다. 2019년 배터리 교체 산업을 녹색산업으로 분류하고 전기차 배터리 교체 방식으로 차를 살 경우 배터리 가격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조금으로 지급했다. 정부가 ‘배터리 교체’에 힘을 싣기 시작하면서 자동차 제조사의 비즈니스 모델에도 변화가 생겼다. 최근 중국 업체들은 배터리가 없는 전기차를 빌려주는 ‘구독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김희영 연구위원은 “배터리 스와핑은 효율적인 국토 활용과 배터리 안전성 제고 등의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