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EGFR 1차 시장 도전…유한양행 '레이저티닙', 1000억 매출 청신호
입력
수정
유한양행에서 밝힌 올해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의 매출 전망치는 300억~400억원이다. 지금은 기존 항암제를 써도 약이 듣지 않은 폐암 환자를 위한 2차 치료제로 활용된다. 이 약이 1차 치료제로 바뀌면 유한양행은 내년 1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처방 가능한 환자가 늘면서 시장성이 두배 이상 확대된다는 의미다.
이런 유한양행의 계획에 청신호가 켜졌다. 1차 치료제로 전환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임상 3상시험에서 기존 1차 치료제인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게피티니브)'보다 약효가 좋다는 게 확인됐기 때문이다. 적응증 확대는 물론 국내 건강보험 시장진입도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임상에 참여한 NSCLC 환자는 EGFR 돌연변이 양성 환자다. EGFR 변이 환자 중 다수를 차지하는 엑손19결실 변이와 L858R 변이 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게피티니브(250mg)를 매일 한 번씩, 다른 그룹은 레이저티닙(240mg)을 매일 한 번씩 복용하도록 했다. 임상시험을 설계하면서 유한양행이 1차 평가 지표로 삼은 것은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이다. 이날 공개된 결과에 따르면 레이저티닙을 복용한 환자의 mPFS는 20.6개월, 게피티니브 복용군은 9.7개월이었다. 위험비(HR)은 0.45로 기존 1차 치료제인 이레사보다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은 55% 낮춘 것(p<0.001)으로 확인됐다. 임상시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데 필요한 통계적 유의성은 갖춘 것이다.
상용화된 EGFR 표적 치료제 중 mPFS 20개월을 넘긴 제품은 없다. EGFR 중 T790M 변이를 타깃으로 한 3세대 표적치료제 타그리소(오시머티닙)가 허가용 임상 3상시험에서 mPFS 18.9개월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아시아인 대상 연구에선 이런 임상 효과를 입증하지 못해 국내 건강보험 1차 치료제 시장에는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레이저티닙이 오시머티닙보다 먼저 국내 건강보험 1차 치료제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받는 이유다.
실제 인종에 따른 분석에서 아시아인 중 레이저티닙 투여군의 mPFS는 20.6개월,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9.7개월이었다. 비아시아인에게선 레이저티닙 투여군은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했다.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9.7개월이었다. 비아시아인군에선 레이저티닙 복용 환자 중 암이 진행하지 않고 약효가 이어진 환자가 많아 수치를 산출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글로벌 시장에서 레이저티닙이 안착하기 위해선 이들을 뛰어넘어야 한다.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1세대 치료제인 게피티니브 대비 유효성은 입증했다. 다만 3세대 치료제로 평가 받는 오시머티닙 대비 완벽한 우위를 보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오시머티닙은 L858R 돌연변이 환자에게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시머티닙의 엑손19결손 환자의 mPFS는 21.4개월, L858R는 14.4개월이었다.이날 발표한 임상 데이터를 통해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의 EGFR 돌연변이에 따른 mPFS도 공개했다. 엑손 19결손 돌연변이 환자 중 레이저티닙 투여군의 mPFS는 20.7개월이었다.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10.9개월이다. L858R 돌연변이 환자는 레이저티닙 17.8개월, 게피티니브 9.6개월이었다. L858R 변이 환자군에서 오시머티닙보다 레이저티닙이 우위를 보인 것이다.
이번 톱라인에 뇌 전이 관련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선 오시머티닙 대비 명확한 비교 우위를 보여주는 데엔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발표한 톱라인에서 2차 지표로 사용한 객관적 반응률(ORR)은 레이저티닙과 게피티니브가 76%로 같았다. 반응지속기간 중앙값(mDOR)은 레이저티닙 19.4개월, 게피티니브 8.3개월이었다.투여 18개월이 지난 뒤 레이저티닙 투여군의 생존율(OS)은 80%, 게피티니브는 72%였다. 이상반응은 레이저티닙과 게피티니브 투여군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 레이저티닙 복용 환자 중 10%가, 게피티니브 투여 환자 중 9%가 이상 반응 때문에 약물 사용을 중단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이런 유한양행의 계획에 청신호가 켜졌다. 1차 치료제로 전환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임상 3상시험에서 기존 1차 치료제인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게피티니브)'보다 약효가 좋다는 게 확인됐기 때문이다. 적응증 확대는 물론 국내 건강보험 시장진입도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EGFR 1차 치료제 승인 청신호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의 1차 치료제 활용을 위한 3상 임상시험 주요 데이터(톱라인)를 확인했다고 1일 발표했다. 유한양행은 국내 신촌세브란스병원 등 13개 나라 119개 임상센터에서 이전에 치료 경험이 없는 393명의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해왔다. 해당 임상시험의 세부 데이터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임상에 참여한 NSCLC 환자는 EGFR 돌연변이 양성 환자다. EGFR 변이 환자 중 다수를 차지하는 엑손19결실 변이와 L858R 변이 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게피티니브(250mg)를 매일 한 번씩, 다른 그룹은 레이저티닙(240mg)을 매일 한 번씩 복용하도록 했다. 임상시험을 설계하면서 유한양행이 1차 평가 지표로 삼은 것은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이다. 이날 공개된 결과에 따르면 레이저티닙을 복용한 환자의 mPFS는 20.6개월, 게피티니브 복용군은 9.7개월이었다. 위험비(HR)은 0.45로 기존 1차 치료제인 이레사보다 질병 진행 및 사망 위험은 55% 낮춘 것(p<0.001)으로 확인됐다. 임상시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데 필요한 통계적 유의성은 갖춘 것이다.
상용화된 EGFR 표적 치료제 중 mPFS 20개월을 넘긴 제품은 없다. EGFR 중 T790M 변이를 타깃으로 한 3세대 표적치료제 타그리소(오시머티닙)가 허가용 임상 3상시험에서 mPFS 18.9개월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아시아인 대상 연구에선 이런 임상 효과를 입증하지 못해 국내 건강보험 1차 치료제 시장에는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레이저티닙이 오시머티닙보다 먼저 국내 건강보험 1차 치료제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받는 이유다.
실제 인종에 따른 분석에서 아시아인 중 레이저티닙 투여군의 mPFS는 20.6개월,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9.7개월이었다. 비아시아인에게선 레이저티닙 투여군은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했다.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9.7개월이었다. 비아시아인군에선 레이저티닙 복용 환자 중 암이 진행하지 않고 약효가 이어진 환자가 많아 수치를 산출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L858R 변이는 오시머티닙 대비 우위
EGFR 변이 NSCLC 환자 치료제 시장에 먼저 진출한 1차 치료제는 게피티니브, 오시머티닙, 로슈의 타세바(성분명 엘로티닙),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성분명 아파티닙) 등이다.글로벌 시장에서 레이저티닙이 안착하기 위해선 이들을 뛰어넘어야 한다.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1세대 치료제인 게피티니브 대비 유효성은 입증했다. 다만 3세대 치료제로 평가 받는 오시머티닙 대비 완벽한 우위를 보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오시머티닙은 L858R 돌연변이 환자에게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시머티닙의 엑손19결손 환자의 mPFS는 21.4개월, L858R는 14.4개월이었다.이날 발표한 임상 데이터를 통해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의 EGFR 돌연변이에 따른 mPFS도 공개했다. 엑손 19결손 돌연변이 환자 중 레이저티닙 투여군의 mPFS는 20.7개월이었다. 게피티니브 투여군은 10.9개월이다. L858R 돌연변이 환자는 레이저티닙 17.8개월, 게피티니브 9.6개월이었다. L858R 변이 환자군에서 오시머티닙보다 레이저티닙이 우위를 보인 것이다.
뇌전이 치료 이점은 미지수
EGFR 변이 NSCLC 환자 치료제 평가를 위한 주요한 지표 중 하나는 뇌 전이 치료 효과다. 레이저티닙 개발에 참여한 조병철 세브란스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개발 초기 이 약물의 강점 중 하나로 중추신경계(CNS) 침투력을 꼽았다. NSCLC 환자의 20~40% 정도에게, EGFR 변이 NSCLC 환자 절반 정도에게 뇌전이가 생기는 데 레이저티닙이 BBB를 잘 투과해 이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취지다.이번 톱라인에 뇌 전이 관련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선 오시머티닙 대비 명확한 비교 우위를 보여주는 데엔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발표한 톱라인에서 2차 지표로 사용한 객관적 반응률(ORR)은 레이저티닙과 게피티니브가 76%로 같았다. 반응지속기간 중앙값(mDOR)은 레이저티닙 19.4개월, 게피티니브 8.3개월이었다.투여 18개월이 지난 뒤 레이저티닙 투여군의 생존율(OS)은 80%, 게피티니브는 72%였다. 이상반응은 레이저티닙과 게피티니브 투여군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 레이저티닙 복용 환자 중 10%가, 게피티니브 투여 환자 중 9%가 이상 반응 때문에 약물 사용을 중단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