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구속'에 여야 맞불…"文 수사 불가피" vs "정치 보복"
입력
수정

국민의힘은 이날 서 전 실장이 구속되자 문 전 대통령을 향해 날을 세우며 공세에 나섰다.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대한민국 사법부는 ‘도를 넘지 말라’는 문 전 대통령의 궁색한 협박을 인정하지 않았다. 문재인 정권의 민낯이 하나하나 드러나고 있다”면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최종책임자는 누구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서 전 실장에 대해 “안보 라인 최고 책임자로서 우리 국민을 보호하지는 못할망정 죽음에 이르기까지 방치하고, 김정은 정권 눈치 보기에 급급해 월북으로 단정 지으며 명예살인까지 저질렀다”고 비판했다. 문 전 대통령을 향해서도 “잊혀진 삶을 살겠다더니 도둑이 제 발 저린 듯 좌불안석인 모양”이라고 몰아붙였다.
장동혁 원내대변인 역시 “검찰에 이어 법원도 서해 사건이 문재인 정부에 의해 조작되고 은폐된 사실을 인정한 것”이라고 강조한 뒤 “이제 진실의 선 너머에는 단 한 사람, 문 전 대통령만 남게 됐다”고 짚었다.이제 칼끝은 문 전 대통령을 향한다.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아무리 전직 대통령이라고 하더라도 대한민국의 법치는 너저분한 변명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다. 월북 조작 사건의 최종책임자,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촉구한다”고 했고 당권 주자인 김기현 의원은 “범죄 앞에 성역은 있을 수 없다.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임오경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문재인 정부) 당시 판단과 달라진 정보나 정황이 없는데, 정부가 바뀌자 판단이 정반대로 뒤집히고 진실이 은폐됐다고 한다”면서 당시 안보 라인 책임자인 서 전 실장 구속은 야당을 향한 탄압이라고 반박했다.구속영장 발부 사유로 ‘증거 인멸’을 제시한 데 대해서도 “모든 자료가 윤석열 정부의 손에 있는데 증거인멸이라니 황당하다”고 비판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의원 또한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서 전 실장은 검찰 수사를 받고자 미국에서 제 발로 한국에 돌아온 사람이다. 무슨 증거를 인멸한다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윤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서 전 실장을) 괴롭히고 있다. 정말이지 가슴을 치고 통탄할 일”이라면서 “대한민국 최고의 대북 전문가에게 아무 근거 없이, 오로지 정치보복 차원에서 구속영장이 청구되는데 누가 조국을 위해 헌신하고자 하겠나”라고 개탄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