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제조업·지식서비스 전출 많아…산업 기반 약화 가능성
입력
수정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은 6일 '부산 전출입기업의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부산에서 나간 기업과 들어온 기업의 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했다.
2018, 2019, 2020년의 3개 연도 기업 전출입 내용을 집계한 결과 부산을 나간 기업이 들어온 기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산의 전체 기업 중 이동한 기업 비중이 많지는 않고, 기업 규모도 작아서 부산 경제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수준이었다.
부산을 빠져나간 기업은 주로 제조업, 지식서비스업 등 지역의 산업 기반에 해당하나, 들어온 기업은 협회나 단체, 사회복지 서비스업, 창고 및 운송 관련 서비스업 등 비지식서비스업이 차지했다.
따라서 부산 산업 기반이 점차 약화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부산의 기업이 많이 나간 지역을 순서대로 집계하면 경남, 경기, 서울, 울산 순이었다.
제조업, 지식서비스, 일반서비스 등 모든 산업영역에서 경남으로 간 기업이 많았다.
경남으로의 기업 유출은 부산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양산, 김해 등지 도시 발전의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 나이에 따라 이사 다닌 기업을 집계해 보면 어린 기업일수록 활발하게 움직이며, 특히 이전 기업의 50% 이상이 0~3년 차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 이전 또한 중요한 창업 정책 의제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기업의 사업이 안정되면서 기업 입지가 확고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4~7년 차의 사업 안정기 창업기업의 지역 정착을 목표로 공간적 유인책 제공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이우평 선임연구원은 "제조업, 지식서비스 등 지역의 생산성을 부양할 산업이 빠져나가고 있는 만큼 신성장동력 발굴과 관련 기업 유치에 산업 정책적 관심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며 "특히 국가, 글로벌 산업생태계 관점에서 부산의 산업적 역할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산업의 조합과 발전 방향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8, 2019, 2020년의 3개 연도 기업 전출입 내용을 집계한 결과 부산을 나간 기업이 들어온 기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산의 전체 기업 중 이동한 기업 비중이 많지는 않고, 기업 규모도 작아서 부산 경제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수준이었다.
부산을 빠져나간 기업은 주로 제조업, 지식서비스업 등 지역의 산업 기반에 해당하나, 들어온 기업은 협회나 단체, 사회복지 서비스업, 창고 및 운송 관련 서비스업 등 비지식서비스업이 차지했다.
따라서 부산 산업 기반이 점차 약화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부산의 기업이 많이 나간 지역을 순서대로 집계하면 경남, 경기, 서울, 울산 순이었다.
제조업, 지식서비스, 일반서비스 등 모든 산업영역에서 경남으로 간 기업이 많았다.
경남으로의 기업 유출은 부산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양산, 김해 등지 도시 발전의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 나이에 따라 이사 다닌 기업을 집계해 보면 어린 기업일수록 활발하게 움직이며, 특히 이전 기업의 50% 이상이 0~3년 차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 이전 또한 중요한 창업 정책 의제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기업의 사업이 안정되면서 기업 입지가 확고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4~7년 차의 사업 안정기 창업기업의 지역 정착을 목표로 공간적 유인책 제공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이우평 선임연구원은 "제조업, 지식서비스 등 지역의 생산성을 부양할 산업이 빠져나가고 있는 만큼 신성장동력 발굴과 관련 기업 유치에 산업 정책적 관심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며 "특히 국가, 글로벌 산업생태계 관점에서 부산의 산업적 역할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산업의 조합과 발전 방향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