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한장 없이 글만으로 120페이지를 꽉 채운 잡지
입력
수정
지면A28
소설 전문 계간지 창간목차조차 없다. 사진이나 삽화는 물론 작가 소개 한 줄 싣지 않는다. 120여 쪽의 잡지를 채운 건 오로지 이야기뿐이다. 출판사 이음이 최근 창간한 소설 전문 계간지 <긋닛>은 매년 네 차례(3·6·9·12월) 사회 현안을 주제로 한 소설을 모아 싣는다. 주제와 관련 있는 에세이도 한 편씩 담는다.
이달에 동시 출간된 1호(사진)와 2호의 주제는 각각 ‘비대면’과 ‘기후위기’다. 내년 3월 ‘노동’을 주제로 나올 3호부터는 등단 여부와 상관없이 단편소설을 공모해 당선작 1~2편을 함께 실을 예정이다.<긋닛> 편집위원인 소설가 김태용은 6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설이라는 장르는 시대의 단면, 시대의 문제의식을 일상의 이야기로 보여주는 데 탁월하다”며 “<긋닛>을 통해 장기적으로 사회가 함께 고민해나갈 하나의 주제를 제시하고, 그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소설을 소개하려 한다”고 말했다.
‘긋닛’은 ‘단속(斷續)’의 옛말로, 끊어지고 또 이어진다는 뜻이다. 전력질주하는 세상에서 잠시 멈춰서서 사회에 질문을 던지고 또다시 나아갈 길을 고민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긋닛>에서는 하나의 주제를 바라보는 작가들의 다채로운 시선을 만나볼 수 있다. 예컨대 2호의 주제 ‘기후위기’를 우다영 작가는 단편소설 ‘기도는 기적의 일부’에서 계급 문제로 다뤘다. 최진영 작가는 ‘썸머의 마술과학’을 통해 세대 문제로 접근했다.단편소설 공모에는 신문사 신춘문예 등단과 같은 자격의 제한이 없다. 원고료는 150만원이다. 편집위원인 소설가 우다영은 “미등단 작가에게도 문을 열어둔 건 <긋닛>이 집중하는 게 소설이기 때문”이라며 “소설은 말하는 장르이고, 좋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조건은 등단 여부보다 ‘해당 주제에 얼마나 깊은 관심을 두고 있느냐’일 것”이라고 했다.
3호에는 용접공 출신 천현우 작가의 첫 소설도 공개될 예정이다. 천 작가는 <쇳밥일지> 등 자신의 경험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에세이로 이름을 알렸다.
우 작가는 “<긋닛>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이야기의 장을 여는 시작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작가는 “동시대 문제를 함께 토론하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북토크 등 관련 행사도 많이 열려고 한다”고 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