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 당분간 5% 수준…금리 인상 기조 필요"
입력
수정
"경기 하방 압력 커져 오름폭은 점차 낮아질 것"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매우 높아"
"자금·채권시장 회복 기대되지만, 불안 재연 가능성도"한국은행은 8일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져도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한은은 이날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향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에 대해 이렇게 예고했다.
우선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는 "국내외 경기 하방 압력 증대 등으로 오름폭이 점차 낮아지겠지만, 완만한 둔화 속도를 보이면서 당분간 5%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하반기 들어 국제 유가 하락, 글로벌 공급 차질 완화 등으로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은 줄겠지만, 반대로 수요 측면에서 '펜트업' 효과(pent-up·코로나19로 지연된 소비 재개)에 따라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 소비가 회복되면 물가 상승률 하락을 막을 수도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한은은 다만 금리 인상에 글로벌 경기 하락, 주택 경기 부진 등이 겹쳐 민간소비가 빠르게 위축되면 수요측 물가 상승 압력이 약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성장과 관련해서는 "민간소비의 양호한 회복에 힘입어 잠재수준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최근 들어 수출 증가세가 빠르게 둔화하면서 성장 모멘텀이 약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경기 하강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 긴축, 글로벌 경기 하락세 등이 지목됐다.국내 요인으로는 금리 상승과 이자 부담 증가, 주택경기 하락의 역자산 효과(자산가치가 떨어져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 회사채 발행 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 투자 위축 등이 우려됐다.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불확실성도 우리 경제의 주요 위험 요소로 꼽혔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연준의 최종 정책금리 수준 전망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며 "다수의 투자은행은 5% 내외로 보지만, 일부는 연준의 긴축 의지 표명에 주목하며 5% 중반까지 정책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거나 경착륙 가능성 등을 거론하며 4% 중반으로 예상하기도 한다"고 전했다.아울러 "앞으로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경로와 관련 지표가 시장의 예상에서 벗어나면,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며 "최종 정책금리 수준이 예상을 웃돌거나 긴축이 장기간 이어지면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주가·신용물·신흥국 통화 등 위험자산 전반이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단기자금·신용채권 시장의 불씨도 여전히 남아있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은 "향후 자금시장과 채권시장은 시장 안정 대책의 효과가 가시화하면서 기능을 점차 회복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리스크(위험) 요인들이 남아있는 만큼 시장 불안이 재연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세부적으로는 "부동산 경기 둔화 지속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나 건설사 발행 회사채 등에 대한 높은 경계감이 유지될 것"이라며 "연말까지 대규모 기업어음(CP) 만기도래가 예정된 상황에서 금융기관의 연말 북클로징(회계장부 결산) 영향 등으로 기업이 차환 또는 상환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연합뉴스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매우 높아"
"자금·채권시장 회복 기대되지만, 불안 재연 가능성도"한국은행은 8일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져도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한은은 이날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향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에 대해 이렇게 예고했다.
우선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는 "국내외 경기 하방 압력 증대 등으로 오름폭이 점차 낮아지겠지만, 완만한 둔화 속도를 보이면서 당분간 5%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하반기 들어 국제 유가 하락, 글로벌 공급 차질 완화 등으로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은 줄겠지만, 반대로 수요 측면에서 '펜트업' 효과(pent-up·코로나19로 지연된 소비 재개)에 따라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 소비가 회복되면 물가 상승률 하락을 막을 수도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한은은 다만 금리 인상에 글로벌 경기 하락, 주택 경기 부진 등이 겹쳐 민간소비가 빠르게 위축되면 수요측 물가 상승 압력이 약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성장과 관련해서는 "민간소비의 양호한 회복에 힘입어 잠재수준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최근 들어 수출 증가세가 빠르게 둔화하면서 성장 모멘텀이 약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경기 하강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 긴축, 글로벌 경기 하락세 등이 지목됐다.국내 요인으로는 금리 상승과 이자 부담 증가, 주택경기 하락의 역자산 효과(자산가치가 떨어져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 회사채 발행 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 투자 위축 등이 우려됐다.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불확실성도 우리 경제의 주요 위험 요소로 꼽혔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연준의 최종 정책금리 수준 전망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며 "다수의 투자은행은 5% 내외로 보지만, 일부는 연준의 긴축 의지 표명에 주목하며 5% 중반까지 정책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전망하거나 경착륙 가능성 등을 거론하며 4% 중반으로 예상하기도 한다"고 전했다.아울러 "앞으로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경로와 관련 지표가 시장의 예상에서 벗어나면,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며 "최종 정책금리 수준이 예상을 웃돌거나 긴축이 장기간 이어지면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주가·신용물·신흥국 통화 등 위험자산 전반이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단기자금·신용채권 시장의 불씨도 여전히 남아있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은 "향후 자금시장과 채권시장은 시장 안정 대책의 효과가 가시화하면서 기능을 점차 회복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리스크(위험) 요인들이 남아있는 만큼 시장 불안이 재연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세부적으로는 "부동산 경기 둔화 지속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나 건설사 발행 회사채 등에 대한 높은 경계감이 유지될 것"이라며 "연말까지 대규모 기업어음(CP) 만기도래가 예정된 상황에서 금융기관의 연말 북클로징(회계장부 결산) 영향 등으로 기업이 차환 또는 상환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