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통합하고 정원 줄이며 버티지만…지방대 소멸 위기
입력
수정
지면A4
학령인구 줄며 미달 속출인구 소멸은 지방대학을 직격했다. 학령 인구 감소, 수도권 대학 집중 현상의 심화 때문이다. 이대로라면 10년 안에 문을 닫는 지방대가 쏟아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할 것”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입학해도 수도권으로 이탈
지역경제와 협력 강화 고심
9일 전국 지방 대학에 따르면 광주광역시의 주요 대학인 전남대와 조선대는 올초 신입생 모집에서 정원 미달 학과가 속출했다. 전남대는 신입생 전체 정원이 4251명인데 4213명이 등록해 38명이 미달했다. 광주·여수 캠퍼스에서 컴퓨터 정보통신공학과와 인공지능학부 등 13개 학과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입학한 후에도 안심할 수 없다. 자퇴생이 급증하고 있어서다.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지역거점국립대 9곳의 지난해 자퇴생은 6366명으로 5년 전인 2016년 3930명에 비해 1.6배가량 증가했다.국내 대학은 이미 신입생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지난해 대학 입학 정원은 49만2000명에 달했지만 취업, 재수, 입대자 등을 제외한 만 18세 학령인구는 41만4000명에 불과했다.
학령인구 감소는 지방대 정원 줄이기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2024학년도 시행계획에 따르면 비수도권 대학 모집인원은 21만1989명으로 5353명 감소한다.
지방대는 학과 통합 등으로 정원을 줄이고 있다. 대구가톨릭대는 무역학과 모집을 중지하는 한편 법학과와 행정학과를 공무원·공기업학과로 통합할 계획이다. 2023학년도 정원은 2494명으로 전년보다 393명 줄었다.지방대는 지역 사회와의 연결 고리를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부산대는 공공기관 지방 인재 채용 비율을 높이는 혁신도시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차정인 총장은 “지방 인재 채용 비율을 끌어올리면 공공기관에서 우수 인재 채용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추가로 들이는 20% 인재는 비수도권에서 채우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울산과 경남 지역 17개 대학은 공유형 대학 모델(USG)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 중이다. 2년은 자기 학교에서 공부하고, 남은 2년은 공유대학에서 학업에 전념하는 개념이다. 홍창남 부산대 교육부총장은 “지역 경제와 연결망을 강화해 인재를 육성하고, 지역에 정착하는 구조를 만드는 게 현재 지방대의 위기를 극복하는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임동률/천안=강태우/부산=민건태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