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국산' 신한울 1호기 가동…尹 "각국에 침 마르게 자랑"
입력
수정
지면A4
'대한민국 27번째 원전' 12년 만에 준공100% 국산 기술로 만든 신한울 원전 1호기 준공식이 14일 열렸다. 2010년 착공 후 12년 만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탈원전으로 움츠렸던 우리 원전 산업이 활력을 띠고 다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1조원 규모였던 일자리, 금융, 연구개발(R&D) 지원 등 원전산업 지원을 내년에 두 배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에 총 4000억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 원전 육성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尹대통령 "원전 재도약 원년"
"무리한 탈원전 폐기하고 정상화
내년 원전산업에 2조 이상 지원
SMR 독자개발엔 4000억 투자"
기술자립 이룬 신한울 1호기
기자재 핵심기술 완전 국산화
발전량, 경북 전력소비의 25%
年 3.3조 LNG 수입대체 효과
‘100% 국산 원전’ 12년 만에 가동
윤 대통령은 이날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독한 신한울 1호기 준공식 축사를 통해 “정부 출범 후 지난 정부에서 무리하게 추진한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정책을 정상화했다”며 올해를 ‘원전 산업 재도약 원년’으로 규정했다. 이어 “정부는 원전산업을 한국 수출을 이끌어 가는 버팀목으로 만들고,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원전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다시금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신한울 1호기에 대해선 “한국이 독자 개발한 APR1400 노형으로 계측제어설비와 같은 주요 기자재 핵심 기술을 완전 국산화한 최초의 원전”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제가 각국 정상을 만날 때도 APR1400 브로슈어를 들고 원전 시공의 신속성, 건설 비용의 합리성,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 침이 마르도록 자랑해왔다”며 “세계 최고의 원전”이라고 추켜세웠다.신한울 1호기는 국내 27번째 원전이다. 정부는 신한울 1호기 준공을 계기로 지난 정부에서 와해하다시피 한 원전 생태계 복원과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신한울 1호기와 함께 착공한 2호기는 내년 9월 준공이 목표다. 신한울 3·4호기 건설도 서두르기로 했다. 정부는 당초 신한울 3·4호기 착공을 2025년에 할 계획이었지만 원전업계의 ‘일감 부족’ 지적에 착공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도 이날 “4000억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약이 체결되는 내년 상반기에는 원전 건설시장이 더욱 활기를 띨 것”이라고 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약 시점을 내년 상반기로 제시한 것이다.정부는 원전업계 경영난 해소와 신규 설비투자를 위한 대출, 보증 등 금융지원, 원자력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R&D 지원에도 내년에 1조원 이상을 쓸 계획이다. 올해 1조원 수준인 일감, 금융, R&D 지원액의 두 배 수준이다. 또 원전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원자력 분야 시험·평가, 인증 등 기업지원을 위한 인프라도 구축하기로 했다.
LNG 수입대체 효과 3조3000억원
신한울 1호기는 전력수급 개선과 에너지 수입액 축소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신한울 1호기의 연간 전력생산량은 1만424GWh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해 경북 전력 소비량(4만4258GWh)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산업부는 신한울 1호기 가동으로 겨울철 전력예비율이 11.7%에서 13.3%까지 1.6%포인트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에너지 수입액 감소와 무역적자 개선 효과도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신한울1호기 가동으로 연간 최대 140만t 이상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산업부는 추산했다. 에너지 수입액을 연간 25억5000만달러(약 3조3000억원)가량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윤 대통령은 당초 준공식에 직접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전국적인 대설과 한파 상황을 고려해 일정을 변경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영하 10도 이하까지 내려가는 한파에서 대규모 야외 행사를 계획대로 진행하면 예측하지 못한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행사 불참 이유를 설명했다.
김소현/좌동욱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