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2030년까지 2조 투자해 항만배후단지 2배로 키운다
입력
수정
'제4차(2023~2030)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발표정부가 2030년까지 민간과 함께 2조원을 투자해 항만배후단지를 현재의 두배 규모로 키운다. 물류 기능에 치우친 한국의 항만을 제조와 창업 등 기능이 어우러진 복합 산업 단지로 만들어 부가가치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전국 항만 배후단지 규모 여의도 11배 크기로 확장
물류-제조-연구개발 어우러진 고부가가치 항만 조성
조승환 "스마트 친환경화 박차 가할 것"
해양수산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2023~2030)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11월 항만물류단지 내 물류업·제조업 겸업 제한을 완화하는 등 규제혁신 방안을 내놓은데 이어 구체적인 항만 발전 계획을 내놨다.항만배후단지는 수출입 화물을 활용하는 물류·제조기업이 부두 배후에 입주해 상품의 가공, 조립, 보관, 배송 등 경제활동을 하는 공간이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전국 항만배후단지에 재정 5655억원, 민간투자 1조4861억원 등 2조279억원의 재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전국 8개 항만 배후단지 규모를 1569만㎡에서 여의도 면적의 10.8배에 달하는 3126만㎡로 넓히고 처리 물동량을 지난해보다 46% 많은 535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지 입주기업도 233개에서 480개로 2배 이상 늘린다. 지난해 1조2129억원에 불과했던 개발 부가가치를 2030년 5조5955억원까지 늘리고, 8만8635명에 달하는 고용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해수부는 △수요에 맞는 충분한 단지 공급 △최첨단·친환경 스마트 그린 단지 조성 △기업하기 좋은 단지 개발 등 세 가지의 전략을 세웠다.
먼저 부산항 신항 웅동 2단계 2종 항만배후단지 27만㎡를 1종 단지로 전환 신항 건설에 따라 확대되는 물류 수요에 대응한다. 항만배후단지는 화물 조립·가공·제조시설, 물류기업이 입주하는 1종 단지와 업무·상업·주거시설이 입주하는 2종 단지로 나뉜다. 인천항과 광양항도 신규준설토 투기장이나 인근 산업단지를 배후단지로 전환해 단지 공급량을 늘린다.
스마트, 친환경 항만배후단지 구축도 본격화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터미널 등이 구축돼있는 울산항 배후단지에 이와 연계된 수소복합단지를 만든다. 부산항·인천항에는 디지털 물류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를 시범적으로 만든다. 이를 통해 대규모 물류 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에 이송적치 자동화, 인공지능(AI)분석 실시간 재고관리 등 물류인프라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기업하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관련 규제도 대폭 개선한다. 2종 배후단지 입주 자격은 네거티브 규제(금지한 행위가 아니면 모두 허용하는 규제)로 전환하고 입지시설에 대한 10년 양도제한 규정도 해제한다. 1종 단지에서 물류업과 제조업의 겸업과 출자자 지분 변경도 허용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현장의 수요에 맞춰 항만배후단지를 적기에 공급하는 것은 물론 항만 배후단지를 스마트·친환경화 하는 부분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내년 해수부는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비롯해 해운·항만의 스마트·디지털화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조 장관은 15일 기자 간담회에서 "전통산업 중 해운·항만 분야는 스마트·디지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수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규제혁신을 추진하겠다"며 "새해에는 조승환표 해양수산정책을 내놓고 싶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