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 3등 세금 안 낸다"…복권당첨금 기준 어떻게 바뀌었나
입력
수정

기획재정부는 3일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 복권 당첨금 비과세 기준선이 이처럼 상향 조정된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로또복권 3등 15만 명, 연금복권 3·4등 2만 8000명 등 연간 18만 명 이상이 비과세로 전환된다. 다만 통상 10억원 이상을 받는 로또 1등, 수천만 원을 수령하는 로또 2등은 여전히 과세 대상에 포함된다.
올해부터는 과세 대상이 아니라면 개인정보 제공 절차 등 복잡한 과정에서 제외된다. 기존에는 당첨금 수령 시 주민등록번호 등 정보를 제공(지급명세서 작성)해야 했다.
이에 200만원까지 당첨금을 받는 사람들은 은행을 방문해 신원만 확인되면 곧바로 당첨금을 수령할 수 있다.비과세 기준선을 상향 조정하는 소득세법 개정은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또 지난해에 복권이 당첨됐어도 올해 1월 1일 이후 청구했다면 새로운 비과세 기준선을 적용받게 된다.
정부는 당첨 후에도 찾아가지 않는 연간 500억원 안팎의 미수령 당첨금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이현주 한경닷컴 기자 wondering_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