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병의 마지막 당부…"변즉생 정즉사"
입력
수정
지면A17
신한경영포럼서 변화 강조
"대내외 악재로 시계 제로 상황
기본에 충실한 효율적 성장을"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AA.32274101.1.jpg)
지난 2일 ‘2023년 신한경영포럼’이 열린 경기 용인시 고매동의 신한은행 연수원. 연단에 오른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사진)은 “지난 성과에 안주하면 기업의 미래가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1984년 신한은행에 입행한 조 회장은 39년간의 ‘신한맨’ 생활을 마치고 회장 임기가 끝나는 오는 3월 퇴임한다. 조 회장에 이어 신한금융을 이끌어갈 진옥동 회장 내정자와 전 그룹사 임원 및 본부장 260여 명은 결연한 표정으로 조 회장의 ‘마지막 당부’에 귀를 기울였다.조 회장은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 현상과 글로벌 저성장 등 대내외적인 악재로 신한금융의 미래는 시계 제로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하며 7대 핵심 전략 과제를 제시했다. △시니어 및 청년 고객층 증가율 1위 달성 △자본시장·글로벌 부문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반 구축 △고객 경험 혁신 △균형 잡힌 인적 경쟁력 확보 △아시아 리딩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금융그룹 △철저한 리스크 관리 △기본기에 충실한 효율적 성장이다.
조 회장은 전략을 짤 때는 ‘방향성’과 ‘실행체계’가 중요하다고 했다. 신한금융의 방향성으로는 ‘신한 2030 1·3·5!’를, 실행체계로는 ‘따로 또 같이(원신한)’를 제시했다. ‘신한 2030 1·3·5!’는 2030년까지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를 높이는 선한 영향력 1위 달성 △글로벌 이익 비중 30% 달성 △비은행 이익 비중 50% 달성 등을 의미한다. ‘따로 또 같이’는 분야별 전문성과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각 그룹사의 장점을 공유하며 그룹의 경영관리 효율성을 높여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는 협업체계다.
경영전략 발표를 마친 조 회장은 진 회장 내정자를 연단으로 불러 포부와 각오를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진 내정자는 “지난 6년간 일류 신한의 기틀을 마련한 조 회장에게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한다”며 “우리 후배들이 변화와 도약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높이는 선한 영향력 1위를 달성하자”고 말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