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잡초 구별, 씨앗도 뿌려준다"…식량위기 해법 제시 [CES 2023]
입력
수정
존 메이 CEO "식량위기 속 기술만이 효율적 생산 가능"GPS와 카메라, 센서와 인공지능(AI)으로 중무장한 무인 트랙터가 밭을 지난다. 그냥 수확만 하는 게 아니라 다음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나간 바퀴자국 속으로 씨앗과 물 비료를 집어넣는다. 농부는 손 하나 까딱하지 않고 모니터로 무인 트랙터가 작업한 면적이 지도상얼마나 되는지 실시간 확인한다. 고성능 카메라로 식물의 품종은 물론 땅의 형질 분석까지 가능하다. 이른바 '눈 달린 트랙터'인 셈이다.
"초정밀 카메라로 땅 스캔하고 농사 데이터 쌓는다."
존 디어, 농업강국 美 이끄는 글로벌 에그테크 기업
CES 첫 공식 기조연설서 인류 위기 기술 해법 제시
농기계 회사의 빅테크 기업 도전 성과 소개
'농슬라'(농기계의 테슬라)라는 별명이 붙은 글로벌 1위 에그테크(농업+기술) 기업 '존 디어'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3' 개막 첫 기조연설에서 선보인 기술이다. 존 메이 최고경영자(CEO)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컨벤션 홀에서 "센서와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완전 자율 트랙터로 지난해 CES 때보다 더 업그레이드된 기술을 소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올해는 인간의 운전 없이 농장에서 필요한 비료와 농약을 뿌리는 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자율주행 트랙터의 능력을 강조했다.
존 메이 CEO는 "과거 농업은 더 큰 기계를 사용하고 더 많은 씨앗과 영양분을 투입함으로서 성장해 왔지만 이런 접근법이 오늘날 효과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농촌의 노동력이 감소함에 따라 더 적인 비용과 인력으로 식량을 생산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며 "존 디어는 식량안보를 위해 제조회사에 그치지 않고 빠르게 세계를 선도하는 회사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화면에 띄운 동영상에서는 새 트랙터에 적용된 기술이 대거 소개됐다. 수확을 하는 동시에 트랙터 바퀴에서 씨앗이 나와 균일한 간격으로 모종되는 장면이 나왔다. 존 메이에 이어 등장한 줄리안 산체스 존 디어 기술 책임자는 주머니에서 작은 카메라를 꺼내 들어보이며 "매 초마다 트랙터에 달린 카메라들이 초당 18.5㎡의 땅을 스캔하고 질량을 분석한다"며 "당신의 스마트폰 카메라 크기보다도 작은 콩의 종류도 식별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제 트랙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카메라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존 디어가 꿈꾸는 목표는 '머신 러닝(ML)'으로 농사짓는 세상이다. 3년 전부터 CES에 계속 출품하고 있는 자율주행 트랙터는 해를 거듭할 수록 진화하고 있다. 존 메이는 "컴퓨터의 딥 러닝과 데이터 분석 기능을 크게 강화했다"며 "임베디드(컴퓨터가 아닌 기계나 장치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와 GPS, 카메라를 모두 통합한 트랙터가 생산 뿐 아니라 농지의 지질과 환경을 분석하고 다음 파종 때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존 디어는 2030년까지 트랙터, 파종기, 제초제 살포기 등에서 완전 자율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키노트에서도 트랙터끼리, 또 다른 기기와도 실시간 연결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강조했다. 여러 기계가 함께 농사 지으면서 쌓인 데이터로 땅의 형질을 분석할볼 수도 있다.
존 디어는 이날 CES 주관사인 소비자기술협회(CTA)의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개막식 90분 중 50분을 존 디어의 프레젠테이션으로 채웠을 정도다. 이날 개막 기조연설 진행을 맡은 게리 샤피로 회장이 직접 존 메이 CEO를 소개했고 청중들이 크게 환호하며 맞이했다. 행사장 2000여 석은 빈틈없이 들어찼다. 존 디어가 공식 개막일 키노트 첫 발표자가 된 데는 CES 2023의 메인 주제 ‘휴먼 시큐리티’ 와 관련이 있다. 세계 3대 곡창지대로 꼽히는 우크라이나의 농업 면적 파괴로 식량 위기가 크게 부각되면서다. 샤피로 CTA 회장은 "기술이 어떻게 세계의 여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대표적으로 깨끗한 식수를 확보하는 문제가 현재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물과 식량 같은 중요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확보할지 기술에서 해답을 찾겠다는 게 CTA의 목표였고, 이에 맞는 첫 번째 기업으로 존 디어를 꼽았다는 분석이다.
라스베이거스=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