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 탈을 쓴 中 일대일로…진짜 목적은 위안화 패권"
입력
수정
지면A10
세계 학자들 "中자금 위험" 경고중국이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등을 명분으로 세계 각국에 빌려주는 자금 규모가 커지고 있다. 위안화의 국제 결제를 늘리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구제금융 성격의 자금이라지만 금리는 다른 국제기구의 구제금융 금리보다 수십 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도와 일부 아랍 국가들도 이 같은 ‘중국형 구제금융’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제금융액 규모, IMF 20% 수준
저개발 22개국에 돈 빌려주고
年 5% 이상 고금리 이자 요구
최근 통화스와프 비중도 늘려
'위안화 국제 결제' 확대 노림수
현금 많은 아랍국가들도 따라해
10년 만에 40배로 늘어
세바스티안 호른 세계은행(WB) 이코노미스트는 8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경제학회 연례총회’에서 ‘국제통화시스템 내 달러화와 위안화’라는 세션에 참가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호른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해외 투자액 중 구제금융 성격의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19 사태 전만 해도 20%가 안 됐지만 지난해 60%에 육박할 정도로 급증했다”고 말했다.그는 “각종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써야 할 자금은 많은데 돈이 없는 저개발국이 중국에서 구제금융성 자금을 받았다”며 “중국 인민은행과 통화스와프를 맺거나 중국 국유은행으로부터 유동성을 지원받는 게 대표적 형태”라고 설명했다.
최근엔 통화스와프 비중이 급등했다. 전체 대여액 중 통화스와프 비율은 2007년 20%대에서 지난해 90% 이상으로 높아졌다. 호른 이코노미스트는 “통화스와프로 자금을 빌려 쓰면 돈을 받는 국가는 위안화를 사용하게 돼 위안화 결제가 늘어난다”고 분석했다.중국형 구제금융 대여액은 매년 늘었다. 2010년 전무했던 중국의 구제금융 지원은 이듬해 10억달러로 증가했다. 일대일로가 시작된 2013년부터 가속도가 붙어 2021년 400억달러를 돌파했다. 2005년부터 2021년까지 누적액은 2400억달러 이상으로 같은 기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액의 20% 수준까지 커졌다.
중국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국가의 범위도 확대됐다. 초기엔 아프리카에 집중됐지만 중남미와 중동, 아시아로 반경이 넓어졌다. 2021년 기준으로 22개국이 중국의 구제금융성 자금을 받았다.
호른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공식 통계를 공개하거나 요청 자료를 주지 않기 때문에 세계 여러 기관에서 자료를 취합해 관련 정보를 모으고 있다”며 “구체적인 수치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중국이 ‘최후의 대부자’로 뜨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고금리 구제금융
중국은 저개발국에 돈을 빌려주면서 고금리를 적용했다. WB에 따르면 중국형 구제금융의 평균 금리는 세계적으로 금리가 오르기 전인 2021년에도 연 5%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IMF 구제금융 금리는 연 2%대,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스와프 금리는 평균 0%대였다. 유럽연합(EU)의 재정자금 지원 금리는 연 3%대다.호른 이코노미스트는 “저소득 국가들이 채무조정할 때마다 중국 자금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국제적 위기 관리자로서 중국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세션에서 ‘중국의 국제화’라는 주제를 발표한 리카르도 라이스 영국 정경대(LSE) 교수는 “위안화가 아직 달러나 유로까지는 아니어도 국제통화로서 기능을 갖춰가고 있다”고 평가했다.이런 변화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호른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와 중동 국가들도 중국을 따라 구제금융성 자금 규모를 늘리고 있다”며 “다자적 국제금융 구조가 더욱 파편화되고 불투명해지고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달 6일 시작해 이날 막을 내린 미국경제학회는 내년 1월 5~7일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다. 경제학계 최대 행사로 매년 1월 초 미국 내에서 개최된다.
뉴올리언스=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