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시대 이끈다'…통신3사, 오픈랜 R&D 활발

산업리포트

LGU+ - 글로벌 표준 시험망 구성
SKT - 통신 테스트 실증에 성공
KT - 오픈랜 연동 '국제 표준' 획득

"중소 통신장비 사업자들에
해외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오픈랜(개방형 무선접속망)’ 연구 개발(R&D)에 열을 올리고 있다. 5G(5세대 이동통신)·6G(6세대 이동통신) 효율화에 필요한 차세대 통신 기술이기 때문이다. 오픈랜은 각기 다른 제조사가 만든 통신장비를 서로 연동해 쓸 수 있게 한 것을 의미한다.
LG유플러스

○통신3사 오픈랜 R&D ‘열중’

SK텔레콤
LG유플러스는 이달 초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 노키아, 국내 통신장비 제조사 삼지전자와 협력해 5G 오픈랜 글로벌 표준 시험망 구성에 성공했다. LG유플러스 상용 코어망을 활용해 노키아의 오픈랜 분산장치(O-DU)와 삼지전자의 오픈랜 무선장치(O-RU) 장비를 연동하는 시험을 벌였다.

이번 성공으로 LG유플러스는 오픈랜 통합 솔루션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시험망 구성은 국내 주요 통신사와 글로벌 장비사, 국내 중소기업이 서로 협업한 게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앞서 삼지전자에 O-RU 개발비용을 투자하기도 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엔 국제 오픈랜 표준화 단체인 ‘오픈랜 얼라이언스(O-RAN Alliance)’가 주최한 글로벌 플러그페스트 가을 행사에서여러 5G 오픈랜 실증 결과를 발표했다.SK텔레콤은 지난달 플러그페스트에 주관사 자격으로 참여해 각종 오픈랜 실증 결과를 각 기업과 공유했다. 국산 오픈랜 5G 기지국 시스템, 실내 환경에서의 오픈랜 통신 테스트 등 다양한 서비스 환경을 고려한 기술 실증에 성공했다. 이 실증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에치에프알(HFR), 휴렛패커드엔터프라이즈(HP), 인텔, 키사이트 등이 협력했다. SK텔레콤은 오픈랜 얼라이언스의 6G 분야 차세대 연구그룹 중 ‘6G 요구사항·서비스’ 분야에서 공동 의장사를 맡아 글로벌 협업을 주도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오픈랜 연동 규격을 제안해 오픈랜 얼라이언스의 표준 승인을 받았다. 국내 5G 무선망 설정값과 구성 방식 등을 오픈랜 국제 규격에 반영한 게 주요 내용이다. 그간 오픈랜 얼라이언스에서 제시한 분산장치와 무선장치 간 오픈랜 인터페이스는 국내에서 사용 중인 설정값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때문에 오픈랜 기술을 국내 5G 무선망에 실제 적용하기도, 국내 통신부품 기업들이 만든 장비를 외국 망 구축 시 사용하기도 어려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에겐 기회

오픈랜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통신사와 장비 제조사가 무선 기지국에 들어가는 각종 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 대해 개방형 표준을 마련하는 게 첫 단계다. 서로 다른 기업이 만든 장비 간 기본적 호환성을 갖추는 과정이다. 표준을 만들면 각 사업자가 장비를 상호 연동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요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비롯해 노트북, 가습기, 테이블 조명 등 각기 다른 소형 전자기기를 충전할 때 USB C타입 케이블이 주로 쓰이는 것과 비슷하다.

다음 단계는 무선 기지국 운용체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장비를 서로 분리하는 것이다. 어느 기업이 만든 장비를 쓰든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하면 된다. 통신사가 특정 제조사 장비에 종속되지 않고 여러 회사의 통신 장비를 아울러 사용할 수 있어 기지국을 촘촘히 설치해야 하는 5G·6G 통신 운용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오픈랜 생태계가 현실화하면 국내 통신장비 기업에도 기회가 열린다. 기존엔 국내 통신장비 사업자들이 다른 기업 장비를 먼저 도입해 쓰고 있는 통신사에 자사 장비를 팔기 힘들었다. 서로 규격이 맞지 않아서다. 하지만 오픈랜 기술이 확산하면 국내 기업이 기능과 가격 등을 차별화해 판로를 확 넓힐 수 있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을 비롯해 국내 중소 통신장비 사업자에게 해외 시장 점유율을 높일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