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밀 유출' 특검 앞둔 바이든 "심각하게 받아들여…적극 협조"(종합)

문건내용·유출경위 따라 파장 커질듯…재선 도전 앞두고 최대 장애물
백악관 "바이든, 문건존재 몰랐다"…'조사 응하나' 질문에 답변 피해
기회 잡은 공화당, 강력한 정치공세 예고…하원의장 "의회가 조사해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부통령 재임 당시 기밀 문건이 잇따라 유출된 것으로 드러나며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법무부는 특별검사를 임명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는 최대 정치적 위기에 봉착한 상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문건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으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자세를 낮췄지만, 공화당은 압박 수위를 한층 높였다.

메릭 갈런드 법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의 기밀 문서 유출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로버트 허 전 메릴랜드주(州) 연방검찰청 검사장을 특별검사에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허 특검은 한국계로, 트럼프 행정부 시절 법무부 수석차관보를 거쳐 2018년 4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메릴랜드주 연방검찰청 검사장을 지낸 인사다.

앞서 중간선거 직전인 작년 11월 2일 바이든 대통령의 개인 사무실에서 기밀 문건이 발견된 사실이 지난 9일 뒤늦게 공개된 데 이어 바이든 대통령의 델라웨어 사저에서도 기밀 문건이 발견됐다는 사실이 잇달아 공개되면서 파문은 증폭됐다.

바이든 대통령의 백악관 변호사인 리처드 사우버는 이날 오전 성명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조사를 통해 이 문건들이 부주의하게 잘못 포함된 것으로 밝혀지기를 자신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변호인들은 첫 번째 기밀 문건이 발견된 뒤 추가적인 기밀 문건의 존재 가능성에 대비해 자택 등을 지속해서 조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두번째 기밀 문건들은 지난해 12월 델라웨어 사저 차고와 그 옆 방에서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레호보스 별장에서는 기밀 문건이 나오지 않았다. 변호사들은 지난해 12월 20일 관련 사실을 법무부에 통보했고, 연방수사국(FBI)이 방문해 문건들을 회수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우리는 법무부 검토에 전적으로 완전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내 변호사들은 집 창고와 파일 캐비닛에서 기밀이라고 찍힌 소량의 문서를 발견했고, 어젯밤 검토를 마쳤다"면서 "법무부는 즉시 통보를 받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린 모든 사실이 드러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별도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문건의 존재 자체를 몰랐으며, 본인이 언급한 대로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이 특검 조사에 필요시 응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가정적 상황에 답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이 조기 진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재선 도전을 앞두고 치명적인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직 구체적인 문건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최소한 2016년 이전 작성된 문서들을 아직까지 존재 자체를 모르고 보유하고 있었다는 자체의 개연성이 떨어지는 데다 일부 문서에 심각한 기밀 사항이 포함될 경우 사안의 휘발성은 한층 커질 수 있다.

이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플로리다 마러라고 자택으로 다량의 기밀문서를 유출해 특검의 조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첫번째로 발견된 10건의 문서 가운데는 이란, 우크라이나, 영국과 관련한 정보 보고가 포함됐다.

바이든 대통령의 차남 헌터는 바이든 대통령의 부통령 재직 시절 우크라이나 에너지기업에 임원으로 영입된 바 있고, 이 문제는 공화당의 단골 공격 소재다.

일각에서는 처음 문건이 발견된 시점이 중간선거 직전인 11월 2일이었는데도 해를 넘기도록 유출 사실 자체를 국민에게 알리지 않은 것은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이 내세워온 투명성이라는 원칙을 훼손한 행위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공화당은 의회가 조사해야 한다며 공세의 포문을 열었다.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이날 의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의회가 조사해야 한다"며 "특별검사가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의회가 살펴볼 역할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앞서 하원 정보위원회도 미 정보기관이 기밀 문건 유출에 따른 손실 평가에 착수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