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국가산단 2.0' 품고 방위·원자력산업 메카 꿈꾼다

현 국가산단 포화상태…그린벨트 부지, 국가산단으로 추가 지정 건의
원희룡 장관 "창원에 보답" 최근 발언에 기대↑…국토부, 이르면 이달 결정
산업화 시대의 선봉장 역할을 해온 창원국가산업단지가 미래 신산업을 끌어안은 '국가산단 2.0'으로의 재도약을 꿈꾸고 있다. 17일 경남 창원시 등에 따르면 창원국가산단은 1974년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이후 50년 가까이 제조업 중심의 전통적 기계산업단지로 기능해왔다.

2천570여만㎡ 규모 창원국가산단은 2021년 말 기준 생산액은 51조9천338억원, 수출액은 138억9천900만 달러, 고용인원 13만6천900여명이다.

지난해 6월 기준 입주기업은 2천880개사다. 이 중 기계산업 관련 기업이 절반 이상인 1천520개사(52.8%)이고, 전기전자 업종은 569개사(19.8%)가 영위한다.

이밖에 비제조(11.7%)·운송장비(8.4%)·철강(2.7%)·목재종이(1.5%)·석유화학(1.4%) 등 업종도 창원국가산단 입주기업에 포함돼 있다.

창원국가산단 부지는 수년 전부터 사실상 포화상태에 들어섰고 현재 100% 분양이 완료돼 신규 산단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하지만 이를 수용할 수 없는 환경이다.
창원시는 과거 50년간 산업화 시대를 이끌어온 창원국가산단이 다가올 미래 50년을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기존 국가산단(국가산단 1.0)에서 벗어나 '국가산단 2.0'으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고중량 시설물이 많은 기존 사업장 특성상 고층 건축이 힘든 점을 고려하면 다른 부지를 국가산단으로 추가 지정받을 수밖에 없다고 창원시는 설명했다.

이에 창원시는 지난해 말부터 국가산단 추가 지정을 목표로 지역구 국회의원 등과 손잡고 국토교통부에 당위성을 설명하며 건의를 이어가고 있다. 국가산단으로 추가 지정받고자 하는 부지는 미래 신산업인 방위·원자력 산업 중심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현재 창원에는 전국 방위산업체(85개사)의 20%에 해당하는 17개사가 있다.

이들 기업은 우리나라 방산 매출액의 24.1%, 수출액의 25.1%, 종사자 수는 27.1%를 차지한다.

또 원자력 발전소 주기기를 제작하는 유일한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가 있는 등 원자력 관련 기업(170개사)도 창원에 밀집해 있다.

국가산단 2.0 대상 부지로는 현재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묶여 있는 부지를 우선 고려한다.

따라서 국가산단 2.0 조성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필요 부지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건의도 동시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이같은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동시에 국가산단 2.0 조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19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출고식 참석차 창원을 찾은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창원에 더 많은 산업단지와 더 좋은 기업들이 하루빨리 들어와 일자리와 생활, 문화 수준이 올라가서 지방발전 시대가 될 수 있도록 그린벨트 등 여러 규제를 화끈하게 푸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최근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현장점검 등을 진행한 국토부는 이르면 이달 안에, 늦어도 내달 중 신규 부지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시 관계자는 "기존 창원국가산단을 '국가산단 1.0'으로 본다면, 국가산단으로 추가 지정받을 부지는 방위·원자력 등 미래 신산업과 연구개발 및 고급인재 육성 기능을 동시에 갖춘 '국가산단 2.0'으로 대개조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방위·원자력 산업 클러스터로 집중 육성해 해당 산업의 메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