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텐센트·넷이즈 신규 게임 허가…게임산업 규제도 마무리 수순
입력
수정
중국이 두 달 연속으로 자국 양대 게임사인 텐센트와 넷이즈에게 게임 판호(중국 내 서비스 허가)를 내줬다. 중국 지도부가 경제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가운데 5년을 지속한 게임산업 규제도 마무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9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다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최근 중국산 신규 게임 88종에 내자판호를 발급했다. 자국 게임사 게임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은 '외자판호'를 받아야 서비스할 수 있다. 중국은 작년 11월 70개, 12월 84개의 내자판호를 내줬다. 12월에는 17개월 만에 외자판호도 발급했다. 당시 44건의 외자판호 중 한국산 게임도 7건 들어갔다. 최근 판호 발급 추세는 지난 5년 간의 분위기와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중국은 2017년 9177건의 내자판호를 내줬다. 그러나 2018년에는 10개월 동안 판호 발급을 중단하면서 총 1893건으로 줄였다. 2019년 1365건, 2020년 1308건, 2021년 679건, 2022년 468건으로 갈수록 감소했다. 외자판호는 연간 100건 아래로 축소됐다. '한한령'으로 한국산 게임 수입도 줄었지만, 중국 내에서도 게임 산업 규제가 대폭 강화됐다.
중국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 압박을 본격화하던 시기인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또 8개월 동안 아무런 설명 없이 판호 발급을 중단했다. 이 기간 1만4000여곳의 게임 개발사가 폐업하는 등 중국의 산업 생태계도 초토화됐다. 중국 관영매체는 '게임은 정신적 아편'이라는 사설을 실으며 업계를 압박했다. 미성년자는 1주일에 3시간만 게임을 할 수 있는 규제도 도입했다.
업계에선 특히 이번에 대표적 빅테크이자 게임 1·2위인 텐센트와 넷이즈가 3개월 연속 신규 판호를 받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두 업체는 당국이 발급을 재개한 4월 이후에도 판호를 받지 못하다가 11월에 가서야 받기 시작했다. 알리바바, 틱톡 운영사 더우인 등도 이번에 게임 판호를 받아냈다. 차이신은 "최근 수 년 동안 게임업계를 짓눌러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19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다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최근 중국산 신규 게임 88종에 내자판호를 발급했다. 자국 게임사 게임 '내자판호'를, 해외 게임은 '외자판호'를 받아야 서비스할 수 있다. 중국은 작년 11월 70개, 12월 84개의 내자판호를 내줬다. 12월에는 17개월 만에 외자판호도 발급했다. 당시 44건의 외자판호 중 한국산 게임도 7건 들어갔다. 최근 판호 발급 추세는 지난 5년 간의 분위기와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중국은 2017년 9177건의 내자판호를 내줬다. 그러나 2018년에는 10개월 동안 판호 발급을 중단하면서 총 1893건으로 줄였다. 2019년 1365건, 2020년 1308건, 2021년 679건, 2022년 468건으로 갈수록 감소했다. 외자판호는 연간 100건 아래로 축소됐다. '한한령'으로 한국산 게임 수입도 줄었지만, 중국 내에서도 게임 산업 규제가 대폭 강화됐다.
중국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 압박을 본격화하던 시기인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또 8개월 동안 아무런 설명 없이 판호 발급을 중단했다. 이 기간 1만4000여곳의 게임 개발사가 폐업하는 등 중국의 산업 생태계도 초토화됐다. 중국 관영매체는 '게임은 정신적 아편'이라는 사설을 실으며 업계를 압박했다. 미성년자는 1주일에 3시간만 게임을 할 수 있는 규제도 도입했다.
업계에선 특히 이번에 대표적 빅테크이자 게임 1·2위인 텐센트와 넷이즈가 3개월 연속 신규 판호를 받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두 업체는 당국이 발급을 재개한 4월 이후에도 판호를 받지 못하다가 11월에 가서야 받기 시작했다. 알리바바, 틱톡 운영사 더우인 등도 이번에 게임 판호를 받아냈다. 차이신은 "최근 수 년 동안 게임업계를 짓눌러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