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0억 증액 두고 조합원 '진흙탕 소송'…원베일리 분양자 발동동
입력
수정
지면A5
'공사중단 위기' 반포 원베일리에 무슨 일이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이 공사비를 둘러싼 조합 내부 갈등으로 입주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초 청약 경쟁률 ‘1873.5 대 1’에 달했던 반포 래미안원베일리는 조합원 간 줄소송으로 감리 용역비 지급이 안 돼 공사 중단 위기를 맞았다. 공사비 증액을 둘러싼 조합 집행부와 비상대책위원회 간 끝없는 대립이 공사 중단 위기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둔촌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 사태’와 닮은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강동구 둔촌주공은 공사 중단 6개월, 조합원 피해액 1조6000억원(추정)의 후유증을 남겼다.
총회서 추가비 지급 가결했지만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대행 직무정지 '맞불' 내분 커져
강남 재건축단지들 판박이 갈등
신반포4, 석달째 합의점 못 찾아
대치2, 입주 1년째 소유권 없어
"조합원간 주도권 싸움 장기화
입주 더 늦어질까 잠이 안온다"
○줄소송에 분양자만 입주 지연 피해
19일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래미안원베일리 조합은 지난 5일 임시총회를 열어 공사계약 변경 약정서 체결안을 가결했다. 시공사의 차별화 설계에 따른 추가 공사비 지급이 주요 골자다. 하지만 비대위가 총회 결정 이후 효력정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면서 진흙탕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시공사인 삼성물산은 지난해 8월 조합 측 요구에 따라 품질 향상을 위한 차별화 설계를 반영하며 추가 공사비 1560억원을 요청했다. 당시 조합 집행부는 추가 공사비 지급을 결정했지만, 일부 조합원이 비대위를 통해 지급 반대에 나서면서 갈등이 커졌다. 조합원 간 소송전으로 불거져 조합장의 직무가 정지됐고, 부조합장은 해임됐다. 이달 초 열린 총회에서 대다수 조합원은 정상적인 공사 마무리를 위해 증액에 찬성했지만 비대위가 가처분을 제기하면서 시공사는 진퇴양난의 상황에 처했다. 조합이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해 추진한 단지 내 상가는 통매각됐다. 하지만 상가 매각 결정을 두고도 가처분 소송이 이어지고 있다. 직무대행을 맡은 노영창 조합 이사는 “총회를 열어 새로운 집행부 구성과 공사비를 지급하려 하는데, 일부 조합원의 반대가 극심하다”며 “비대위가 다시 직무대행을 선임하라는 소송을 제기해 언제까지 사업이 지체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조합 내분으로 인해 분양자들은 입주 지연이라는 폭탄을 맞게 됐다. 앞서 삼성물산은 화물연대 파업과 감리업체 변경 등의 사유를 들어 오는 8월 입주 일정을 2개월가량 늦춰 달라고 요청했다. 여기에 감리업체가 용역비 지급을 요구하며 업무 중단을 예고해 입주 일정이 더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강남 곳곳 조합 내 ‘공사비 갈등’
공사비 증액을 둘러싼 조합 내부 갈등은 강남권 내 다른 재건축 사업지도 마찬가지다. 서초구 잠원동 재건축 단지인 신반포4지구(3100가구)는 지난해 시공사인 GS건설이 공사비 4700억원을 증액해달라고 조합에 요청했다. 설계 변경으로 늘어난 공사비 2900억원과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경비 1800억원을 더한 액수다. 그러나 조합 내부에선 인상 요구를 수용하자는 의견과 반대하는 의견이 맞서 3개월 넘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지난해 입주가 이뤄진 강남구 대치2지구(273가구)도 공사비 갈등으로 아직 이전고시 절차를 밟지 못하고 있다.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는 시공사와 거부하는 조합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어서다.서초구 방배동 신성빌라(90가구) 재건축도 공사비 갈등 탓에 이달 초부터 현장이 멈췄다. 시공사인 동부건설은 설계 변경과 물가 상승을 이유로 공사비 인상을 요청했다. 조합 내 반발이 거세지면서 최근까지 협상이 모두 결렬됐다. 결국 40%까지 진행된 공사가 중단되면서 오는 10월로 예정된 입주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비업계에서는 ‘제2의 둔촌주공’ 사태 재연은 예견된 결과라는 반응이다. 상당수 조합이 시공 계약 당시 빠른 착공만 강조한 탓에 물가 상승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서초구의 한 재건축 조합 임원은 “부동산 호황기에 특화 설계와 빠른 착공만 바라보고 정작 공사비 인상 조항에 대해서는 고민하지 않았던 게 문제”라며 “이제 와서 비용 때문에 예정했던 커뮤니티 시설을 없애는 상황이 반복되니 조합원 사이에서 반발이 나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