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분쟁에…대만 기업들 '탈중국' 미국행 검토 중
입력
수정
대만 기업이 미중 무역 분쟁 등의 여파로 '중국 탈출'과 '동남아와 미국행'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는 최근 '2022년도 해외투자사업운영상황조사'에서 이같이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는 대만 기업인이 향후 3년 동안 투자를 고려하는 해외 지역 관련 조사에서 전통산업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16.72%), 미국(13.77%), 베트남(11.88%) 등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산업은 미국(12.46%), 중국 광둥성(10.28%), 베트남(9.9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업은 베트남(16.52%), 그 외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등이 각각 11.45%로 나타났다. 특히 대만 기업이 대만에서 외국 주문을 받아 중국에서 출하하는 방식에 최근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자유시보가 전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 이후 외국의 대만 주문 비율이 2021년 기준 약 69.08%로, 2016년(약 57%)보다 12.08%포인트 증가해 역대 최고치라고 설명했다.
이와는 반대로 외국의 중국 주문 비율은 2021년 15.47%로 2019년(25.12%)보다 9.65%포인트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산업의 경우 중국 내 출하 비율이 2017년과 2018년 60%를 넘었으나 2019년에는 50% 이하로 감소했으며 대만의 출하 비율이 2020년에는 중국을 추월해 2021년에는 42.3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자유시보는 대만 당국이 1991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중국 내 장쑤성, 상하이, 광둥 지역 등 3곳에 대해 1천271억7천100만 달러(약 157조561억원)의 투자를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2018년 미중 무역 분쟁 이후 상하이와 광둥 지역의 투자가 전성기의 3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만의 정보통신사업의 중심지인 장쑤성의 투자도 정체된 상태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투자심의위원회는 중국 내 코로나19 및 중국 당국의 빈번한 산업규제 및 감독 등으로 인해 대만 기업인의 대만 투자 비율이 중국 투자 비율보다 6~7배 증가했다고 풀이했다.
이어 최근 중국의 대만의 농산물 수입 금지와 대만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의 가입 신청 등이 이같은 대만 기업의 투자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23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는 최근 '2022년도 해외투자사업운영상황조사'에서 이같이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는 대만 기업인이 향후 3년 동안 투자를 고려하는 해외 지역 관련 조사에서 전통산업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16.72%), 미국(13.77%), 베트남(11.88%) 등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산업은 미국(12.46%), 중국 광둥성(10.28%), 베트남(9.9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업은 베트남(16.52%), 그 외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등이 각각 11.45%로 나타났다. 특히 대만 기업이 대만에서 외국 주문을 받아 중국에서 출하하는 방식에 최근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자유시보가 전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 이후 외국의 대만 주문 비율이 2021년 기준 약 69.08%로, 2016년(약 57%)보다 12.08%포인트 증가해 역대 최고치라고 설명했다.
이와는 반대로 외국의 중국 주문 비율은 2021년 15.47%로 2019년(25.12%)보다 9.65%포인트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산업의 경우 중국 내 출하 비율이 2017년과 2018년 60%를 넘었으나 2019년에는 50% 이하로 감소했으며 대만의 출하 비율이 2020년에는 중국을 추월해 2021년에는 42.3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자유시보는 대만 당국이 1991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중국 내 장쑤성, 상하이, 광둥 지역 등 3곳에 대해 1천271억7천100만 달러(약 157조561억원)의 투자를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2018년 미중 무역 분쟁 이후 상하이와 광둥 지역의 투자가 전성기의 3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만의 정보통신사업의 중심지인 장쑤성의 투자도 정체된 상태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투자심의위원회는 중국 내 코로나19 및 중국 당국의 빈번한 산업규제 및 감독 등으로 인해 대만 기업인의 대만 투자 비율이 중국 투자 비율보다 6~7배 증가했다고 풀이했다.
이어 최근 중국의 대만의 농산물 수입 금지와 대만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의 가입 신청 등이 이같은 대만 기업의 투자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